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의신
수신
강신
d라이브러리
"
물의신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그리스 신화에는 최고의 발명가이자 건축가인 다이달로스와 그의 아들 이카루스가 등장한다. 이들 부자는 신의 노여움을 사서 크레타섬의 미궁에 갇힌다. 이후 다이달로스는 태양과 바다의 신에게 들키지 않고 이곳을 빠져나가는 방법을 궁리하다가 비행을 생각해낸다. 다이달로스는 탁월한 솜씨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압록강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번째로 큰 강. 강원도 황지 너덜샘에서 시작해 부산 사하구 다대포 모래사장까지 흐르는 강이 바로 낙동강이다. 1천3백리를 장구히 흐르는 강은 인간에게 낙동강 하구라는 위대한 자연유산을 선물하고, 태평양 바다와 만나면서 미련없이 그 끝을 맺는다.낙동강 하구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이란 무엇인가? 시간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가? 시간의 방향은 있는가? 만일 빛의 속도보다 빨리 간다면 시간여행을 할 수 있을까?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면 과거를 바꿀 수 있을까?뉴턴 시대의 시간은 절대적이며 불변의 양이다. 어느 누구도 감히 바꿀 수 없는 절대적인 것으로 신의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조선 초기 백성들은 지금의 기상청인 서운관의 관리가 치는 종소리를 듣고 시간을 알았다. 관리는 물시계를 보고 일정한 간격으로 종을 쳤다. 이 종소리에 따라 한양의 성문도 열리고 닫혔다. 그 후 세종 때 장영실은 일정한 시간마다 자동으로 종을 치는 물시계인 자격루를 만들었다. 물시계는 물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태양이 여태까지 기록된 것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의 플레어를 뿜어냈다. 태양 표면에서 가장 드라마틱하고 강력한 활동이 11월 5일(수요일) 현재까지 열흘 동안 지속됐다. 컴퓨터에서 데이터가 밀렸을 때에 일괄해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배치란 다발이라는 뜻으로, 한 묶음으로 해서 처리한다는 것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대폭발 이후 중심에서 하염없이 영원의 시간속으로 멀어져 간다는 우주의 끝. 인간의 두뇌로는 감히 그 넓이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그렇게 우주는 무한한 공간일까?이 질문에 대해 오랫동안 사람들은 주저없이 ‘그렇다’고 답해왔다. 그러나 최근 이같은 고정관념을 뒤흔드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 ...
한국 태양광 기술 몽골 사막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인천국제공항에서 울란바토르 행 비행기 탑승 시간을 기다리고 있는데 어떤 여성이 말을 걸어왔다. 도무지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가 없어서 어리둥절했더니 그 여성은 다시 영어로 물어왔다.“Aren’t you a Mongolian? Oh, I’m sorry.”몽골인처럼 보인다는 말 아닌가. 적잖이 충격을 받은 채로 비행기에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1803년 10월 영국 과학자 존 돌턴은 맨체스터 문학 및 철학 협회에서 원자의 무게에 대한 최초의 표를 발표했다. 각 원소들은 일정한 질량과 특성을 갖는 한 종류의 원자로 구성된다는 그의 이론은 근대화학의 기초를 세웠다. 신호의 감쇄나 이득을 나타내는 통신 단위예를들어 음성신호 등은 스스로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모든 사람들의 몸 안에는 약 1kg의 미생물이 항상 같이 살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세균(박테리아)이고 그 외에도 바이러스, 곰팡이, 원생생물 등이 살고 있다. 무게 단위로 생각하면 대장에 가장 많은 세균이 살고 있고 소장은 물론 여성의 질내에도 세균들이 득실거린다. 수분을 빼면 분변의 약 절반 ... ...
화성이 핏빛으로 물든 사연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지난 8월 27일 저녁 화성이 지구에 6만년 만에 가까이 다가왔지만, 전국적으로 날씨가 좋지 않아 희귀한 광경을 만날 수 없었다. 물론 이날 하루만 화성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대접근 날을 전후해 한달 동안 화성 쇼가 펼쳐졌다. 하지만 이것도 여의치가 않았다. 비가 오거나 흐린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