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작은 실천으로
바다
거북을 구하고 기후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영웅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와 환경을 위해 여러분도 플라스틱 다이어트 프로젝트에 참여해 주세요! 플라스틱 다이어트 챌린지 5월 31일까지 플라스틱 다이어트 챌린지 참여하고 ... ...
[통합과학 교과서] 안드로메다를 구해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위성으로 위치 추적까지 싹 다 끝냈죠”그때 마침 나타난
바다
괴물! 페르세우스는
바다
괴물을 처치했습니다.“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전화기 덕분이에요.”안드로메다는 눈물을 흘리며 감사를 표했어요.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도 영웅이 됐답니다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병을 분리배출 했어요. 병 목의 링이 없어서 분리배출 하기는 쉬웠어요. 이런 활동으로
바다
거북을 도울 수 있다니 정말 뿌듯했어요. 앞으로도 따분행을 열심히 실천할 거예요! 줍깅탐사이슬비 기자친구와 함께 줍깅친구와 함께 아파트 단지부터 가까운 안양천까지 줍깅 활동을 했어요. 줍깅에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게임으로 슬기롭게 공부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어릴 적에 게임을 무척 좋아했어요. ‘대항해시대’라는 게임을 할 땐 세계 여러
바다
를 여행하기 위해 책을 펼쳐놓고 하루종일 목적지인 나라의 위치를 찾고, 그 지역의 역사와 특산품 등을 익혔어요. 게임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필수였거든요. 그러면서 다른 과목도 이 게임처럼 ... ...
리사x이클과 함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쓰레기가 엉켜서 수영을 제대로 못 하겠어.”
바다
거북 단짝 친구인 리사와 이클이
바다
로 흘러들어온 쓰레기를 피해 육지 위로 올라왔어요. 겨우 한숨 돌리려는 그때, 육지에 쌓인 거대한 쓰레기더미가 리사와 이클의 눈에 들어왔어요.“헉! 육지에도 쓰레기가 어마어마하게 많잖아?”“이대로 ... ...
쓰레기, 대체 얼마나 많은 거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세던 리사가 깜짝 놀랐어요. 이클도 충격받은 표정으로 대답했어요. “헉! 전 세계의
바다
로 매년 흘러 들어가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이 약 800만t(톤)*이래!” 페트병으로 지구 12바퀴우리나라 국민 1명이 1년 동안 사용하는 생수 페트병은 평균* 96개예요. 우리나라 국민 전체가 1년 동안 사용한 ... ...
[시사과학] 역대 최대, 최장 기록 남긴 동해안 산불 213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바다
로 흘러들어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킬 우려도 있어요. 강릉시는 화재가 진화되자마자
바다
로 흘러가는 오염 물질을 막기 위해 강둑을 설치하기도 했습니다.이번 산불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경찰은 달리던 차에서 나온 담배꽁초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어요. 행정안전부는 ... ...
재활용 넘어 새활용으로!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7호
분리배출 방법까지 완벽히 익힌 리사와 이클은 한결 가벼워진 마음으로
바다
로 돌아갈 채비를 했어요.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육지의 어린이들에게 더 쉽고 즐거운 재활용 방법을 알려주자!”리사가 들뜬 목소리로 말하자, 이클이 맞장구를 쳤어요.“그래! 우리 다 함께 힘을 모아서 쓰레기로 ... ...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보통 모험은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 밖에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산이나
바다
처럼”이라며 “하지만 우리 동네에서도 모험은 할 수 있다”고 했다. 카스트로는 현재 ‘익스플로어 마이 일리(Explore My Ili)’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프로젝트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직접 자신의 마을을 ... ...
[4컷 만화] 몸속에 숨은 미세플라스틱, 빛으로 찾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지름 5mm 이하의 조각들이에요. 크기가 매우 작아서 하수처리가 되지 않은 채 강이나
바다
로 흘러 들어가면 물고기가 이를 섭취할 수 있어요. 인간이 이 물고기를 섭취하면 미세플라스틱을 먹을 수도 있어 큰 문제로 지적됐죠.기존의 미세플라스틱 추적 기술은 형광 염색을 썼는데, 오랜 시간 빛을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