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사이에 작용하는 힘(강력)은 오히려 멀어지면 더 세게 작용해서 쿼크나 글루온만을 따로
분리
할 수가 없다. 이런 특이한 강력의 성질을 연구하기 위해 앨리스팀은 입자를 충돌시켜 쿼크와 글루온이 모두 녹아내린 상태인 ‘쿼크-글루온 플라스마’를 만들어 강력을 추적했다. 하지만 양성자나 ... ...
신속PCR 쟁점 3가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기술적인 한계로 정확도가 낮을 가능성이 높다. 열역학적으로 온도를 올려 DNA 가닥을
분리
하는 과정이 있는 PCR보다 낮은 온도에서 프라이머와 DNA 중합효소가 결합해 DNA를 증폭하는 LAMP는 반응이 시작될 확률이 더 낮다. 박건수 한국화학연구원 CEVI(신종 바이러스 감염 대응) 융합연구단 연구원은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이제는 구름도 DIY! 헬륨 비누 거품 구름 생성 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나오는 것처럼요. 이렇게 솟아오른 거품을 막대기로 빠르게 가르면 비누 거품이
분리
돼 하늘로 떠오릅니다.비누 거품이 하늘 위로 끝없이 올라갈 수 있는 비결은 거품 속 헬륨에 있습니다. 헬륨은 수소 다음으로 가벼운 원소입니다. 0℃, 1기압에서 헬륨의 밀도는 0.18g/L로 건조 공기의 밀도인 1.29g ... ...
[한페이지 뉴스] 살기 위해 몸통 잘라 버리는 갯민숭붙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포식자로부터 도망치기 위해서가 아닌 자신의 몸에 감염된 기생충을 제거하고자 몸통을
분리
하는 것으로 추정했다.미토 연구원은 “이 갯민숭붙이들은 녹조류로부터 엽록체를 뺏어 광합성을 해 에너지를 얻는 특성이 있다”며 “잘린 몸통이 오래 활동할 수 있는 이유는 이 독특한 특성 때문일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굉장히 위험해요. 사람과 부딪히면 사람이 다칠 수도 있기 때문에 공장에서 작업자와
분리
된 공간에 서만 작동할 수 있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죠. 반면 협동로봇은 안전장치를 내재하고 있어 서비스 분야에 넓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사람의 얼굴을 스캔해서 적합한 형태의 안 경을 골라주는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양자홀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물질이 그래핀이다. 테이프로 흑연의 층을
분리
해 누구나 손쉽게 2차원으로 만들 수 있는 데다 순수하게 탄소로만 이뤄졌고 양자홀 상태의 에너지가 크기 때문이다.김 교수는 “2004년 테이프를 이용해 그래핀을 만드는 방법이 알려지기 이전에는 양자홀 ... ...
[특집]나는 어떤 가드너?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열대 식물인 만큼 낮은 온도에서는 성장하지 않아 따뜻한 곳에 둬야 한다. 과육 부분과
분리
한 파인애플 꼭지로 뿌리를 생장시킬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열매가 자랄 때까지 최소 2년이 걸린다. 월계수 │ 한결같은 푸르름을 좋아하는 당신은 인내심 강하고 변덕 없는 가드너 고대 그리스에서는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 전자레인지로 속도 잰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많이 받아 유독 뜨거워지겠네요? 여기에서 치즈가 등장합니다. 전자레인지의 회전판을
분리
하고, 그 위에 슬라이스 치즈처럼 잘 녹는 납작하고 넓은 물체를 올려두세요. 전자레인지를 20초간 작동시킨 후 치즈를 꺼내면 치즈가 군데군데 녹아 패인 자국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들이 바로 ... ...
탄소배출의 주범이라고? 공장이 변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아끼고 있다. 석유화학 공정은 고온의 반응기가 많고 증류탑에서 끓는점을 이용한
분리
정제 과정을 거치는데, 여기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다시 전기를 만든다.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수많은 신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를 공장에 곧바로 적용할 수는 없다. 실험실 수준에서 만들어진 ... ...
[2021 소미더뭐니] 최고의 흰 소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전에 다른 대리모의 자궁에 이식하죠. 또한 백우 정액에서 X염색체만 가진 정자를
분리
해 만든 수정란을 대리모에 이식하는 성판별 정액 생산 기술도 활용할 계획이랍니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