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균형
불확실
동요
변화
변동
불평등
불균등
d라이브러리
"
불안정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맥스웰은 고리가 유체일 경우 미세한 파동 형태의 섭동이 증폭돼 고리 전체를
불안정
하게 할 수 있으므로 고리는 입자로 돼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맥스웰은 이 업적으로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애덤스상을 받았다. 이즈음 기체분산에 대한 독일 물리학자 클라우지우스의 논문을 본 맥스웰은 ... ...
옥수숫대에 얼음종이 맺혔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날린다.] [▼우수상 설악산에 UFO| 윤태수설악산 위에 UFO가 나타났다! 주로 대기가
불안정
하고 바람이 세게 불때 높은 산 뒤쪽에 발생하는 구름이다.] [▼장려상 얼음에 갇힌 공기방울 오도연공기방울이 수면 위로 올라오다 얼음 속에 갇혔다. 멋진 현대 추상화를 연상시킨다.] [▼장려상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방법이다. 오존수는 오존가스를 물에 녹여 만든다. 오존 자체가 화학적으로 매우
불안정
해 쉽게 산소(O2)와 다른 물질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산소 라디칼(O)로 분리되는데, 이 산소 라디칼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미생물을 죽인다. 산소 라디칼은 미생물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을 망가뜨리거나 구멍을 내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둘 다 게놈이 RNA 단일가닥으로 이뤄져 있다. RNA는 DNA에 비해
불안정
한 분자이기 때문에 복제과정에서 오류가 많아 돌연변이가 쉽게 일어난다. 그 결과 숙주의 면역계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 한편 구제역바이러스는 게놈 자체가 전령RNA(mRNA)가 되는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인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런
불안정
성 역시 EDRF가 일산화질소임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라고 생각했다.
불안정
한 라디칼인 일산화질소는 좀 더 안정한 물질인 아질산염(NO-2)이나 질산염(NO-3)으로 쉽게 바뀌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자동차업계에서 쓰는 화학발광 측정 장치를 이용하기로 했다. 화학발광이란 분자가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런 면에서 볼 때 사실 구제역바이러스는 매우 연약한 편이다. 게놈이 DNA보다 훨씬
불안정
한 RNA로 이뤄져 있고 외피가 없어 단백질 캡슐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충북대 수의학과 강신영 교수는 “단백질 구조가 변형되면 숙주의 세포 표면에 달라붙을 수 없다”며 “이런 변형은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되지는 않을까. 베너 박사는 “비소가 들어 있는 물질이 지구와 같은 기온에서는
불안정
하지만 온도가 매우 낮은 외계행성에서는 안정성이 높아져 유용하게 쓰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비소를 이용하는 미생물이 안정적으로 진화해 덩치가 큰 생명체가 될 가능성도 있을까.이영숙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 물질을 이용해 물에 쉽게 분해되는 비소화합물을 보호함으로써
불안정
한 구조를 보호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구조 때문으로 보인다. 즉, 자기장의 변화로 스핀의 자성 정렬의 형태가 변할 때 구조가
불안정
해지면서 특정 이온이 약간 이동하는데, 그 결과 물질의 전기 분극이 바뀐다. 이 결과가 발표된 이후 산업이나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다강체를 만드는 연구가 폭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전력 소모 낮은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적응한 극한 미생물의 일종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비소는 생명체를 이루기에 너무
불안정
해생화학자들은 비소를 포함한 DNA나 RNA, 단백질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논문에서는 이런 생체 분자 안에 비소가 들어 있다는 증거를 제시했을 뿐 비소가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