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수
산행꾼
수렵꾼
나무꾼
삼림지기
낚시 애호가
사냥군
d라이브러리
"
사냥꾼
"(으)로 총 28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걀과 우유로 상아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혈안이 된 사람들 때문에 마음놓고 죽지도 못하고(?) 상아만 노리고 마구 살육하는
사냥꾼
들을 피해 달아나야만 했다. 차라리 상아가 없었더라면···.점차 그 수가 줄어가는 코끼리를 보호하자는 목소리가 동물보호단체를 중심으로 뒤늦게 터져 나왔다. 일본정부도 이에 호응, 작년 9월부터 ... ...
사냥의 명수 사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사자는 초원에서 무리를 지어 살기 때문에 숲속에서 외토리로 사는 호랑이보다 훨씬
사냥꾼
의 표적이 되기 쉽다. 더구나 호랑이는 야행성인데 비해 사자는 낮에 주로 행동하기 때문에 위험부담도 그만큼 크다.사자는 다른 고양이과의 무리와는 달리 집단생활을 한다. 보통 4~5마리씩 작은 집단을 ... ...
한국 중부의 터줏대감 황새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이 소식이 전해진지 불과 3일 후인 4월 4일에 뜻밖의 사건이 터졌다. 이 아무개라는
사냥꾼
이 수컷을 사살했다는 슬픈 이야기가 신문에 대서특필된 것이다. 모든 국민들이 분노했고 슬퍼했다. 참으로 어이없는 사건이었다.원래 이 황새부부는 오래 전부터 이 마을에서 살아오고 있었다. 남편 황새가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무기’의 개념은 인류발생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매머드
사냥꾼
의 암벽화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된 암벽화는 초기 아메리칸 인디언들의 생활을 기록한 것이 많다. 1927년 뉴멕시코주의 ‘폴섬’에서 약1만년전의 인류가 사용하던 돌로 만든 창끝이 거대한 들소뿔과 함께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1860년대 남북전쟁이 끝나고 대륙을 횡단하는 유니언 퍼시픽철도가 건설되면서 이 철도는
사냥꾼
들에게 더 없이 좋은 교통수단이 됐다. 동시에 동부에서 서부로 몰려오는 이주민들과 인디언간의 싸움은 더욱 치열해졌다.이때 말을 잘 타는 총의 명수가 들소사냥의 전문가로 등장하는데, 저 유명한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시리우스'이고, 또 한마리가 작은 개자리가 되었다.또한 이 작은 개는 자기를 키워준
사냥꾼
인 주인 '아크타이온'을 물어 죽인 맹견 '메란포스'라고도 한다.'아크타이온'은 태양의 신 '아폴론'의 손자인데 사냥의 명수였다. 사슴 사냥을 나간 어느 날, 그는 숲이 우거진 골짜기를 찾아들게 되었다. ... ...
가장 깨끗하고 가장 깊으며, 가장 큰 담수호 동 시베리아의바이칼 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쉽게 현금화 할수 있는 자산이었다. 바이칼호 주변에는 흑 담비가 많았다. 러시아인
사냥꾼
들은 에스키모의 개와 썰매를 이용, 담비사냥을 한것이다. 혁명 직전 즉 1915년경에는 담비를 너무 많이 작아 거의 멸종되다시피 했는데 혁명후 사냥을 제한하는 바람에 요즘은 담비의 숫자가 상당히 ... ...
호랑이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검은 반점이 뚜렷하다.호랑이의 털색이 이렇게 선명한 데도 잡혀 먹히는 동물에게나
사냥꾼
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그들이 활동하는 무대에 많이 있는 식물들과 비슷한 색깔을 띠기 때문이다.호랑이의 번식기(期)는 서식지의 기후에 따라 다르다. 북방에서 봄이 시작되기 전부터 번식을 시작하나 ... ...
플로리다주의 악어 사육 쇠고기 대신 악어고기를!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10배 늘어60년대만해도 악어는 '멸종위기'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숫자가 줄었었다. 악어
사냥꾼
들이 마구 잡아 가죽을 팔아왔기 때문에 1967년에는 플로리다주에서 겨우 10만마리가 살고 있다고 보고되었다.이렇게 되자 주 정부는 악어 사냥을 금하는 법률을 만들어 시행했고 자연생 악어를 ... ...
모두가 울어버린 콘도르의 죽음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활짝편 날개는 3m나 된다.이 새는 독수리라고는 하지만 유순하기 짝이 없다. 먹이는 주로
사냥꾼
의 총에 맞아 죽어가는 양이나 사슴이다. 사납지 않은 대신 눈은 굉장히 좋아서 하루에 거의 2백50㎞나 떠돌면서 먹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콘도르는 남ㆍ북미에 4종이 있는데 이중 캘리포니아종이 가장 ... ...
이전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