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물"(으)로 총 1,0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2차원으로 그린 뒤, 독자와의 거리를 달리하며 입체감을 줍니다. 호랑 작가는 캐릭터와 사물의 위치를 직교좌표계 대신 구면좌표계와 비슷하게 새로 만든 좌표계로 조정하게 했습니다. 직교좌표계가 각 축에서의 거리로 위치를 나타내는 것과 달리, 구면좌표계는 원점과의 거리를 이용합니다. ... ...
- [이달의 사물] 지워지는 볼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지워지는 볼펜’은 볼펜 꼭대기에 달린 고무가 지우개 역할을 합니다. 연필과 달리 손으로 글자를 문질러도 번지지 않고, 지우개와 달리 ‘때’도 나오지 않아 깨끗합니다. 지워지는 볼펜의 잉크에는 류코(leuco) 화합물로 만든 잉크와 현색제, 변색 온도 조정제가 들어있습니다. 류코 잉크는 원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인터넷 플러스’ 정책 덕분이다. 중국 정부는 기존 산업에 모바일 인터넷,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을 융합해 인터넷 금융의 발전을 이끌었다. 이 정책은 소위 ‘BAT’라 부르는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의 인터넷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다. IT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들었는데, 가리비 역시 마찬가지예요. 가리비는 수백 만개의 거울을 이용해 정확하게 사물을 볼 수 있지요. 연구에 참여한 벤저민 팔머 박사는 “가리비는 200개나 되는 눈을 몸 전체에 배치하고 있다”며, “눈앞의 포식자를 더 잘 파악하고, 사방에 있는 먹이를 더 잘 탐색하기 위해 이런 눈을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교과서에 등장하는 대칭이동, 점 대칭, 선 대칭이 떠올랐겠지만, 보통은 거울에 비친 사물이나 미술 시간에 배운 데칼코마니, 길 양옆에 서 있는 가로수가 생각날 거예요. 이들의 공통점은 뭔가를 기준으로 좌우에 ‘똑같은’ 대상이 있고, 뭔가 질서정연한 느낌이 든다는 겁니다. 우리가 어렴풋이 ... ...
- [이달의 사물] 윷가락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오랜만에 친척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설을 맞아 이번 달에는 윷놀이를 준비했습니다. 윷놀이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전해오는 전통놀이로, 소나무나 싸리나무를 깎아 만든 윷가락 4개를 던져서 말을 달리는 게임입니다. 던진 윷가락이 떨어지면 둘 중 한 면만 보이는데, 납작한 면의 개수에 따라 도,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doors from blocking their opening during structural failures in earthquakes and other catastrophes.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기술도 유용하다. 시스데브(SysDev)라는 이탈리아 기업은 ‘건축구조물의 블랙박스’라고 부르는 무선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를 이용해 건물의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미 세계 곳곳에선 변화가 생겼다. 각종 인프라에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해 사물이 사람의 도움 없이 서로 소통하며 공간을 꾸려나갈 수 있다. 공장의 환경과 생산속도 등을 조절하는 ‘스마트 공장’이 대표적이다. 인공지능이 큰 역할을 하리라 기대하는 부분 중 하나는 에너지 관리다. 실제로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지금보다 더 끌어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 더 많은 데이터를 쌓아야 한다. 신 대표는 “사물인터넷(IoT)과 웨어러블 기술을 접목해서 개인의 유전체 정보와 생활습관, 질병 이력 등을 꾸준히 추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나의, 나에의한, 나를위한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 있게 하면 뉴런과 비슷한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사물을 인식하고, 사물의 패턴을 찾아내 분별하는 AI의 업무가 가능해진다. 여기서도 필자는 멤리스터를 이용한 AI 소자 전문가로서 칭화대가 개발 중인 AI 칩인 ‘톈디(天地)’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과학기술에 대한 현량자고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