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d라이브러리
"
수증기
"(으)로 총 847건 검색되었습니다.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물이 액체로 존재할 수 있는 곳이다. 만약 행성과 항성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물은
수증기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반대로 너무 멀면 얼음 상태가 된다. 지구로부터 600광년 떨어져 있는 케플러-22b의 크기는 지구의 2.4배이며 공전주기는 지구보다 조금 짧은 260일이다. 케플러-22b에 반드시 생명체가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물로 돼 있으니까 이걸 기체로 만들어 화성 대기에 퍼뜨린다는 거야.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가 온실효과를 일으켜 온도가 올라가면 그만큼 더 극관이 녹아서 온실효과를 촉진시킨다고해. 몇백 년이 걸릴지 모르지만, 계획대로만 된다면 화성도 따뜻해지고 산소가 생겨 우주복을 입지 않아도 될 거래. ... ...
서리 vs성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아름다운 모양의 얼음 결정이다. 창 안팎의 온도 차가 클 때 얼음 결정이 잘 만들어진다.
수증기
가 유리창에 붙어 물방울이 된 다음에 어는 얼음결정은 성에라고 하지 않는다. 과학적으로 보면 서리와 성에는 같지만 어디에 어떻게 생기느냐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른다고 볼 수 있다 ... ...
겨울 간식 삼총사 찐빵, 호떡, 붕어빵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방법이 다르면 빵을 씹을 때 입 안에 느껴지는 감촉인 ‘식감’도 달라진답니다.뜨거운
수증기
가 가득한 통에 넣고 찌는 찐빵에서는 녹말이 수분을 흡수해서 익는 ‘호화’ 현상이 일어나요. 호화 현상이 일어나면 밥처럼 끈끈한 느낌이 난답니다. 반면에 뜨거운 불판에 기름을 두르고 지지는 ... ...
화학에 만화를 더하면 펑! 박동곤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봤어요. 자동차는 사람처럼 산소와질소를 먹고 낙스(NOx)를 내뿜어요. 밤과 새벽에는
수증기
(H₂O)와 만나서 질산(HNO₃)이라는 산성안개가 되고, 낮에는 햇빛을 받아 오존을 만들죠. 어때요? 만화로 보니까 훨씬 쉽죠? 그런데 왜 화학에서는 복잡하게 원소 기호를 쓰지요?물질은 마치 작은 레고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약 4배나 습도를 높여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게다가 식물이 증산작용으로 내뿜는
수증기
는 세균이 하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식물이 공기도 깨끗하게 해 주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대.그렇다면 어떤 식물을 키우는 것이 좋을까? 공기를 촉촉하게 만드는 일은 이끼가 가장 잘 한대. 또 공기를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소금물을 사용한다. 나무를 소금물에 완전히 적시면 수분이 마르면서 동시에 소금이
수증기
를 적당하게 머금는다. 따라서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나무판 전체가 고르게 마를 수 있다. 또한 나무 속에 숨어 있는 벌레의 알을 없애는 역할도 한다.완성한 경판에 옻칠을 하는 이유도 경판에 수분이 ... ...
개구리도 액화를 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9호
후 콜라병에 물방울이 송글송글 맺히는 걸 볼 수 있어요. 차가운 콜라병 근처에 있던
수증기
가 응축돼 액체인 물방울로 변하는 액화가 일어나기 때문이지요.호주 열대 초원에 액화 현상을 이용하는 초록청개구리가 있어요. 호주 열대 초원은 겨울에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초록청개구리가 살아남기 ... ...
장마 뒤에 물폭탄? 날씨가 수상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6호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 더 많은
수증기
가 태풍에 공급될 수 있다. 기상청은 올해 8~9월에 2~3개의 강력한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북태평양 고기압이 강해진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원인으로 ... ...
사회적 이슈에서 연구주제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요인: 온실기체의 배출로 인한 온실효과 때문이다. 자연계에 있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는
수증기
와 이산화탄소다. 온실가스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지만 적외선은 잘 흡수하는 광학적 성질을 가진 기체다. ⑤ 지구의 기후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1860년대부터 1990년 까지 대기온도가 0.3~0.6℃ 상승했고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