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심혈관세포 등을 이용한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박 교수팀은 동북아시아의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7년에 이어 이번 겨울에도 중국 베이징대 환경공학과 민후 교수팀과 중국 산둥에 있는 대기과학부 연구팀과 함께 국제 공동 관측 및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는 2018년 1 ...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램지 수’ 연구에서 새로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여러분은 램지 수에 대한 업적으로 아시아 최초로 ‘풀커슨상’을 수상한 고등과학원 김정한 교수를 아시나요? 풀커슨상이란 미국수학회와 수학적 프로그래밍학회에서 3년에 한 번 이산수학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논문을 쓴 사람에게 주는 ...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야생 멧돼지 일부가 순화돼 사육되기 시작했으며, 본격적인 가축화는 약 6800년 전 동남아시아에서 시작됐다. 검고 몸무게 80kg인 ‘재래돼지’ 복원 우리나라는 약 2000년 전인 고구려 시대에 들여와 조선시대까지 고유한 형태로 이어져 내려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재래돼지’라고 일컫는다. ...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세계에서 다섯 번째 개인 유전체 지도였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이 유전체를 당시 아시아인으로는 유일하게 분석된 중국인의 유전체와 비교한 결과 500만 개 정도에서 유전자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이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양이었습니다. 국가별로 유전자 변이가 다른 만큼 결국 개인 ... ...
-
- Part 1. 변신 1 - 9000년 간 변해왔다! 가축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가축화되기 전부터 이미 유럽과 아시아 멧돼지가 달라졌다는 뜻이지요. 결국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멧돼지를 가축화하면서 다른 종류의 가축 돼지를 얻게 됐답니다. 우리나라 돼지는 어떤 돼지? 아마 대부분의 친구들이 ‘돼지’란 단어를 들으면 분홍색 가축 돼지를 떠올릴 ... ...
-
- Intro. 세계에서 가장 긴 바닷길은? 新 실크로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폴로 님이야. 다들 내 이름 한 번쯤 들어 봤겠지? 글쎄, 나 때는 말이야~, 유럽에서 아시아로 건너가는 길이 아주 험난했어. 낙타를 타고 그 험하다는 타클라마칸 사막 근처를 건너며 오아시스를 찾아 헤매고…. 어? 요즘은 그러지 않아도 된다고? 엥? 저기 바다 위로 보이는 길이 실크로드라고 ...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루스티켈로가 이를 받아 적어 이라는 책을 냈다. 이로 인해 유럽 사람들은 아시아에 대해 호기심을 키우게 된다. 대항해시대, 해상 실크로드 개척! | 중국에서 나침반을, 이슬람에서 별을 관측하는 기구 아스트롤라베를 들여온 유럽에서는 항해술이 발달했다. 1492년, 이탈리아 탐험가 ... ...
-
- [이 얼굴을 지켜주세요] 몸이 그렇게 무거운 ‘고니’? 큰고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건 큰고니예요. 큰고니는 10월이면 우리나라 낙동강을 포함해 아시아 중부와 동부 지역을 찾아요. 한번 짝을 지으면 오랫동안 함께 생활하기 때문에 가족 단위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지요. 항문 근처 기름샘에서 기름이 나오는데, 이 기름을 몸에 묻히면 털이 물에 젖지 않아 ... ...
-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유라시아 해저터널이다. 유라시아 해저터널은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해저터널로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연결한다. 총 길이가 14.6km이며, 바닷속으로 지나가는 해저 구간이 5.4km다. → 수압을 견뎌라! 유라시아 해저터널은 최고 수심이 110m다. 10m당 1대기압만큼 압력이 세지기 때문에 수심 11 ...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쓰는 전기는 국내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뒤, 송전선을 타고 집이나 학교로 와요. 그런데 아시아 지역의 전력망이 연결되면 앞으로 몽골이나 러시아의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 에너지를 우리나라에서 쓸 수 있답니다. 몽골의 풍부한 바람과 햇빛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고, 전력 수요가 많은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