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유일
다만
d라이브러리
"
오직
"(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다니엘’은 불만이 많다. 그가 속한 돌고래 무리의 규율이 매우 엄격하기 때문이다.
오직
할 수 있는 일은 먹이사냥뿐. 무료한 일상을 반복하던 어느날, 다니엘에게 이상한 목소리가 들려오는데….꿈을 찾아 모험을 떠나는 돌고래 다니엘!보통 돌고래 무리는 먼 거리를 주기적으로 돌아 다니면서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무덤을 만들기도 했죠. 이 성당은 당시 로슬린 마을을 소유했던 윌리엄 싱클레어 가문이
오직
자신들을 위한 성당으로 쓰려고 지은 것입니다.성당은 높은 천장과 뾰족한 첨탑, 아치형 창문이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로슬린 성당에는 다른 고딕 양식 성당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 ...
열정으로겨루는 수학 대전!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떠난다. 작년에는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한 수련원에서 2박 3일 동안 함께 지내면서
오직
수학만 생각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덕분에 41명이나 되는 동아리원들이 우정을 쌓으며 좋은 추억을 만들 수 있었다.2박 3일간 진행된 프로그램은 모두 동아리원들이 스스로 준비했다. 암호를 주제로 한 ... ...
과도한 소금섭취 막는 짠맛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위암 등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나트륨을 감지하는 수용체는 동물 종 전체에서
오직
하나만 알려져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TMC가 이온채널임을 규명한 최초 사례다. 특히 예쁜꼬마선충에서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예쁜꼬마선충은 사람과 유전정보적, 생화학적 특성도 상당히 닮아있어 ... ...
➋ 이재진 컴퓨터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중요한 것이 자신감이에요. 어떻게 해야 자신감을 키울까요. ‘이 세상에 나란 사람은
오직
하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세요. 최선을 다 했을 때는 ‘나는 잘난 사람’이라는 자신감을 가지세요. 결과가 좀 안 좋아도 실망하지 말고 자신감을 잃지 말아야 해요. 주변에 잘하는 친구들을 보면 ...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하고 배수도 좋아야 하고요.이런 상황이니 온대 지역은 커피를 재배할 수 없어요.
오직
남위 23.5°, 북위 23.5° 사이의 아열대 몬순이나 열대 기후에서만 가능하죠. 이 지역을 ‘커피 벨트’라고 해요. 유럽은 커피에 푹 빠졌지만 자신들의 땅에 커피를 심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어요.그래서 어떤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주며 관찰했다. MrgA3 외에도 고통을 느끼는 세포가 있지만 가려움을 느끼게 하는 데는
오직
MrgA3 세포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이 세포가 없는 쥐는 뜨거운 물에 일반 쥐와 똑같은 반응을 보였지만 가려운 부분을 긁는 행위는 눈에 띠게 줄어들었다.또 MrgA3가 캡사이신에는 반응하지만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바위 하나 개울 한 줄기까지 신들이 정성껏 가꾼 우주의 정원이었다. 그리고 그 정원에는
오직
평화롭고 아름다운 것들만이 평화롭고 아름답게 살아갔다.그는 그 행성에 밤에 도착했다. 아름답고 평화로운 밤이었다. 지구의 달보다 조금 더 큰 위성이 밤하늘에서 은은하게 빛났고 외계의 풀벌레들이 ... ...
펭귄들이 추위를 견디는 방법은 이기심이 아닌 수학!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응용수학자 프랑세즈 블랑셰트는 펭귄들이 서로 뭉치고 안으로 파고드는 행동이
오직
자기 열을 잃지 않으려는 행동일 거라 가정했다. 그리고 펭귄 무리의 열 분포를 계산하는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다. 이때는 펭귄들의 행동 방식과 각자 추위를 견디는 정도의 차이, 그리고 시시각각 변하는 바람의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유명한 일화가 있다.이 일화에는 제 아무리 왕이라고 해도 기하학을 잘할 수 있는 비결은
오직
자신의 노력뿐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여기서 ‘수학에는 왕도가 없다’는 말이 유래됐다.그런데 알렉산더 대왕은 왜 하필 기하학을 배웠을까? 기하학과 정치가 무슨 상관이 있는 걸까? 놀랍게도 고대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