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대학원
d라이브러리
"
전문학부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물과 햇빛만으로 에너지를 얻으려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빛에너지를 이용해 화학반응을 촉진시키려는 광촉매 연구다. 또 광촉매는 환경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성질을 갖는다. 꿈의 신기술로 불리는 광촉매 연구가 무엇인지 알아보자.지난 1998년 독일의 벤츠사는 세계 최초로 수소를 연 ... ...
기자가 만난 우리의 빛 전문가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2-3년 전부터 심심찮게 들려오는 빛에 대한 최신 연구들은 상당히 흥미롭게 느껴졌다. 하지만 당시 해외저널에 발표된 원문들을 살펴봐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다.스페셜 리포트 코너를 기회삼아 이 분야와 관련된 국내 전문가들을 물색했다. 생각보다 국내에 느림보 빛을 연구하는 전문가가 ... ...
초소형기계시스템(MEMS)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동전 크기의 로봇, 손목에 부착하는 컴퓨터, 그리고 칩 속의 화학공장까지 최신 기술이 반영된 갖가지 초소형 첨단 기계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 기반이 되는 MEMS는 어떤 기술이며, 어떤 연구를 하는 분야일까. S여고 3학년 보람이는 얼마 전부터 소화 불량과 속쓰림에 시달리고 있다. 불규칙한 ... ...
마음으로 깨닫는 물질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화여대의 명강의로 소문난‘과학과 문화’.한학기 동안 자신이 맡은 토론 주제 발표를 준비하다 보면 어느새 종강이다. 전체 수업에서도 특별한 과학지식을 암기하도록 강요받지 않는다. 그렇지만 학기가 끝날 무렵이면 가슴속에‘뭔가’남는다. 왜일까.‘친절하고 자세한 수업이 문과생인 나 ... ...
1. 이공계 기피 원인 지표 뒤집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최근 이공계 문제에 대한 언론 보도와 사회 분위기가 오히려 이공계 기피를 더욱 부채질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듯하다. 한 국가의 장래를 결정한다는 과학기술, 그 선봉에 서있는 이공계의 현 좌표는 어디쯤일까. 이공계는 과연 기피해야 할만큼 비전 없는 분야일까.최근 언론과 인터넷 게시판을 뜨 ... ...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SF 영화나 소설의 소재로 등장하는 가상현실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해보고 싶어하는 첨단기술 중 하나다.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세계를 보여주는 기술. 가상현실은 어떤 학문이며, 기술적 구현 원리는 무엇일까.인공 두뇌를 가진 컴퓨터(AI)가 지배하는 2199년. 인간들은 태어나자마자 인공자궁 안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20세기 IT 산업과 같은 호황을 21세기에는 MEMS에서 맛볼 것이다. 이같은 프론티어의 꿈을 앉고 앞으로 나가고 있는 국내 MEMS 프로젝트가 있다. 바로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이다. 이 사업단을 찾아가 국내 MEMS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다.“지난 2000년 세계적으로 IT 산업이 최고의 각광을 받으면서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최근 세계축구무대에서 유행하는 4-4-2나 3-5-2는 무엇인가. 우리축구수준은 월드컵의세계수준에 객관적으로 비교하면 어떨까. 우리수준과 세계수준을 제대로 알고 본선에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2001년 12월 1일 저녁 부산에 전세계인들의 이목이 집중됐다. 바로 2002년 한일월드컵 조추첨식이 열렸기 때 ... ...
수난의 시대, 역사 속의 여성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과학의 역사 속에서 여성은 왜 소수일까.여성과학자들을 둘러싼 사회문화적인 배경 속에서 그 답을 구할 수 있다.남성 중심의 과학계에서 여성이 과학자로서 살아남기 위해 어떤 고초를 겪어야 했는지를 살펴보자. 전세계적으로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여성 활동을 진작시키기 위한 각종 정책들이 ... ...
조셉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흔히 중국의 문명을 특징짓는 키워드로 ‘자존심’을 든다. 수천년 동안 동부 아시아를 실질적으로 지배했고 스스로 세계의 중심이라고 믿어왔던 까닭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자존심에도 예외가 있었는데, 그것은 ‘중국에도 과학기술이 있었는가?’라는 사뭇 도전적인 질문이다. 중국 과학문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