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하
전가
하전
예하
성하
d라이브러리
"
전하
"(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사용하는 백열등, 형광등 및 아크등의 빛은 편광이 아니다. 왜냐하면 빛을 만들어내는
전하
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진동하지 않고, 각각의 방향으로 진동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편광필름과 같은 편광판을 지나면 편광판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한다. 그 빛이 바로 ‘편광’이다.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값을 유지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었다.BCS이론이 설명하는 초전도 현상의 원리보통 (-)
전하
를 띠고 있는 전자는 서로 밀어낸다. 그런데 낮은 온도의 초전도체 안에서는 전자가 지나갈 때양이온이 인력을 받아 전자 쪽으로 끌려간다.(가운데) 하지만 양이온은 전자보다 1800배 이상 무겁기 때문에 ... ...
찌릿찌릿, 따끔따끔! 정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
전하
로 대전된다.➌ 구름과 나무 끝에
전하
가 많이 쌓이면 구름에 있던 전자가 (+)
전하
와 결합하기 위해 나무 끝으로 흘러 번개가 치게 된다.알록달록, 신기한 플라즈마 방전두 번째 특종입니다! 이번에는 하늘색이 특이하다는 제보를 듣고 북극으로 달려왔습니다. 도착해 보니 하늘을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는데, 이와 비슷한 원리다.마이크로 버블은 거품의 크기가 작아 표면적이 넓다. 또 음
전하
를 강하게 띠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끌어당기는 힘이 세다. 때문에 사과뿐 아니라 매실처럼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과일이나 채소도 깨끗이 씻을 수 있다. 오존수로 매실을 세척하면 표면에 난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일어나는 근본 원리가 서로 배타적이라는 데 있다.강유전성은 기본적으로 물질 내부의
전하
분포가 변하면서 생기는데, 이때 물질을 구성하는 이온 중 하나가 움직여야 한다. 이러한 이동은 보통 양이온의 스핀이 0이어야 잘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강자성은 원자 자체의 스핀이 0이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이 논문에 따르면 양자이론은 모노폴의 존재를 부인하지 않는다. 게다가 전기의
전하
량이 항상 일정한 값의 정수배만 갖게 되는 이유를 설명하려면 모노폴이 필요하다.디랙은 모노폴을 내놓기 전 1928년에 반입자의 존재를 예측했었다. 그리고 1932년 실제로 반입자인 양전자가 발견되면서 디랙은 ... ...
크리스마스 선물 배달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카드를 보낼 거야.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섭섭박사님의 예쁜 카드로 마음을
전하
면 어떨까?“모두 메리 크리스마스~!”도전! 나도 섭섭박사11월 15일자에 소개된 무게연구실에도 많은 친구들이 찾아와 주었어요.다른 친구들은 어떻게 실험을 했는지 함께 볼까요?그림 : 박순구참여독자 : ... ...
전기 만드는 벌집 구조 창문 생길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패턴이 형성됐다. 리머가 비교적 높은 밀도로 응집해 있는 가장자리는 광자를 흡수하고
전하
가 흐르는 성질이 어났다. 반면 중앙부는 이런 성질이 떨어지는 대신 폴리머의 응집 비율이 낮아 투명했다.이 투명한 필름을 유리창에 붙이면 전기를 만드는 창문을 만들 수 있다. 폴리스티렌과 같은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전기적으로
전하
를 갖지 않은 중성자와 양(+)의
전하
를 띤 양성자들의 모임이다. 같은
전하
간에는 강한 반발력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원자핵의 성립이 불가능하다. 실제로는 대부분의 원소들이 대체로 안정하며 어떤 원소들은 오히려 더욱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원자핵 내부에는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특성을 분석한 가임 교수와 노보셀로프 박사 외에, ‘2차원 결정 구조인 그래핀에서
전하
는 질량이 없다’는 연구 결과를 2005년 ‘네이처’에 게재한 김필립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가 수상을 놓친 것은 두고두고 아쉬운 일이다. 김 교수는 그래핀을 반도체에 이용할 가능성을 처음으로 밝혔다.필자를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