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폴로늄과 라듐 정도로만 짧게 기억될 뿐이다. 조금 더 설명을 붙인다면 방사능과 그 개념 정도일 듯하다. 마리 퀴리와 피에르 퀴리 부부는 폴로늄을 발견한 1898년의 논문으로 앙리 베크렐과 1903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또 마리 퀴리는 라듐을 발견한 1910년 논문으로 1911년 노벨 화학상을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규모 12 이상의 지진도 발생할 수 있을까요? 발생한다면 과연 그 힘과 피해는 어느 정도일까요?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지진 안전 지대라고 불려 왔지만, 더 이상 안심할 수 없다고 해요. 5월에도 규모 4.5의 지진이 동해안에서 발생했죠. 역사상 가장 무서웠던 지진은 어떤 지진일까요? 건강하게 ... ...
- 무작위하지 않다는 증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의심 정도였지만, 21세기에 들어서는 동전 던지기가 무작위하지 않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속속들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퍼시 디아코니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리통계학과 교수가 2007년 2명의 공동 연구자와 낸 논문이다. 동전을 던지기 전, 처음 위를 향한 면이 동전을 던진 후 그대로 나올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하지요. 2단계. 중학교 1, 2학년 내용도 다시 보자! 소집면접은 서류 마감이 끝나고 1달 정도 열심히 준비했어요. 주어진 문제를 풀고 면접관 앞에서 풀이 과정을 설명하는 면접이었어요. 과학고 20곳 중에 몇몇은 홈페이지에 기출 문제를 올려놨어요. 그곳에서 기출 문제를 출력해서 풀어봤어요.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을지, 있다면 어떤 분야일지 등을 학생들이 자유롭게 발표합니다. 이런 과정을 3주 정도 진행하면 논문을 근거로 더 연구할 영역을 자연스럽게 학생 스스로 찾게 되죠. 영재는 남보다 적은 자극으로도 남들만큼, 혹은 그보다 더 나아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그들에게 적절한 자극을 주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빗자루만 타면 울렁울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오랜만이라 반갑게 인사를 드리고 싶은데 제가 상태가 이래서 죄송해요. 119까지 부를 정도는 아닌우웩! 여기 기대서 조금만 쉬면 될 것 같아요.”고통스러워 보이는 도로시를 대신해 남쪽 마녀가 말을 이어갔어요.“도로시는 캔자스로 돌아간 뒤에도 가끔 동화마을로 찾아오곤 했어요. 양철 ... ...
- [숫자로 보는 뉴스] 얕보지 마시라! 젤리 같은 몸으로 800배 압력 견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젤리처럼 말랑말랑한 몸통을 가진 물고기가 바닷속 8336m에서 발견됐어요. 세상에서 가장 깊은 바닷속에서 발견된 물고기로 기록됐지요. ... 해구★ 깊은 바다에서 움푹들어간좁고긴 곳을 말해요. 주변의 바다 바닥보다 약 2km 정도 더 깊어요.심해어★ 깊은 바다에서 사는 해양생물을 말해요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때문이에요. 그래서 대학원에 들어오기 전에 가능하다면 3, 4학년에 걸쳐 연구를 두 번 정도 해보면 좋아요. 프린스턴대 대학원을 지원한 이유는 제가 관심 있는 확률론의 연구 분야를 활발하게 연구 중인 알란 슬라이 교수님이 계시기 때문이에요. 현재는 슬라이 교수님이 제 지도교수님이세요. ... ...
- [과학뉴스] 유해한 유전자 돌연변이 찾아내는 AI ‘알파미스센스’ 발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연관된 단백질 사이의 서열과 구조를 비교해 분석한 후, 돌연변이의 잠재적 유해 정도를 0점(무해함)에서 1점(병원성) 사이의 점수로 매겼다. 인간과 가까운 영장류에서 실제로 나타나는 미스센스 돌연변이 데이터와의 비교도 거쳤다. 구글 딥마인드 연구팀은 알파미스센스를 통해 약 7100만 개의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752년, 취미로 전기 연구를 하던 스위스의 수학 교수 요한 게오르그 줄처가 처음 기록했을 정도로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줄처가 왜 배터리 사이에 자신의 혀를 넣었는지는 여전히 비밀에 싸여있다).“솔직히 어떤 연구가 이그노벨상을 받았는지 궁금했어요. 저는 지난 12년 간 전기 미각에 관해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