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내로 침투시켜 세포질을 해체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 같은 비
정상
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한다. 도움 T림프구는 각종 신호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세포나 림프구가 활성화되도록 돕는다. 특히 항체를 만들 수 있도록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도움 T림프구나 수지상세포가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칭커나겔은 1996년 12월 10일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우리가 지금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스톡홀롬에 있을 수 있는 이유는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스타부딘을 재합성해 HIV에 처리한 결과, HIV는
정상
적으로 DNA를 합성하지 못하고 비
정상
적인 짧은 DNA를 만들어내며 증식이 억제됐다. 스타부딘은 1994년 에이즈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 그러나 당시 스타부딘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였다. 비싼 가격 때문이었다. 이에 프루소프는 2001년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각광 받고 있다.단, 이를 위해서는 첨단 생명공학 기술이 다수 요구된다. 그중 하나가
정상
유전자를 치료가 필요한 체내 세포에 정확하게 운반할 수단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사로 바이러스가 주목받고 있다.본래 바이러스는 증식을 위해 자신의 DNA나 RNA를 숙주세포의 DNA에 삽입하는 과정을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매우 크다. 일부는 유전자 돌연변이로 면역세포나 관련 신호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정상
적으로 생성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돼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앓거나 명확한 이유 없이 급성 백혈병이 생기기도 한다. 면역시스템이 오작동을 일으키면 내 몸의 것을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원 단백질을 발현하는 DNA의 염기서열을 이용해 제작한다. 이때 인체에 DNA만 주입하면
정상
적으로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DNA가 인간 세포에서도 발현될 수 있는 플라스미드(스스로 복제할 수 있는 유전물질)에 DNA를 끼워 넣어 만든다. DNA 백신의 장점은 보관이 매우 쉽다는 것이다. DNA는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스스로 위험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바이러스가 사는 것으로 알려져 ‘바이러스 저장고’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주로 림프절과 같은 림프 기관에서 대기하며 항원의 침입에 대비한다. 생체시스템이
정상
적으로 작동할 때는 B림프구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면역능력이 너무 부족하거나 활발한 세포는 제거되고, 중간 정도의 능력을 갖춘 B림프구가 완성된다. 특히 자신의 생체 내 분자에 맞는 수용체를 가져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암제를 결합한 뒤 암 환자에게 투여하면, 항암제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해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쾰러와 밀스테인은 단일클론항체를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에 대해 쾰러는 밀스테인 덕분이었다고 공을 돌렸다. 그는 1981년 남긴 비망록에서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위해서는 이를 촉발하기 위한 임계점에 해당하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하다. 보편적으로
정상
체온인 36.5도 내외에서 이런 과정이 자발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단적인 예로 생체 분자인 아데노신일인산(AMP)에서 뉴클레오시드가 분해되는 반응은 아무런 상호작용 없이는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