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자리
작업장
사업소
가게
항문
감독
십장
d라이브러리
"
직장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시작된 현대 유전학과 진화생물학의 탄생 과정을 짚어낸다. 특히 현대물리학에 문외한인
직장
인에게 난해한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이종필 연구원의 ‘샐러리맨 전 차장이 아인슈타인이 되기까지’와 고대 엔지니어 입장에서 신화를 탐색하는 맹성렬 우석대 교수의 ... ...
어려울 때 힘이 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에 여성 보험계리사를 키우기로 계획을 했지요. 제가 운 좋게 그 혜택을 봤어요. 제 첫
직장
이 외국계 보험회사였거든요.”조 전무님은 보험계리사 자격증 없이 보험회사에 입사를 했고 회사를 다니며 국내·국제 자격증을 따셨어. 전무님 외에도 일을 하며 자격증을 딴 사람들이 많이 있다고 해.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최초의 우주망원경이 발사된다는 기대감은 오히려 적었어요. 연구를 하기 위해 안정적인
직장
이 필요했거든요. 하지만 반사경 결함으로 관측은 못했어요.”허블펠로우 자격으로 제안한 안드로메다은하의 구상성단을 관측해 나이를 구하는 과제가 취소됐다. 다른 천문학자들도 사정은 ... ...
새 계획은 왜 항상 작심삼일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2월 6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가 발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직장
인 863명 중 새해에 새로운 계획을 세운 사람은 전체의 91.1%인 786명이었다. 하지만 세운 계획을 한 달 이상 지키고 있는 사람은 그중 13.4%인 105명에 불과했고, 계획 중 일부만 실천하고 있는 사람이 68.8%, 전혀 지키지 못한 사람이 17.8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때문에 침대 가까운 곳에 물건을 모을 수 있도록 방을 설계하는 일도 중요하다.
직장
은 어떻게 지어야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이 늘고 정보전달이 원활해져 매출액이 늘고영업이 수월해질지, 또 우울증 환자들이 생활하는 공간에 긍정적인 사고가 확산되려면 어떻게 실내공간을 구성해야 할지도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셈입니다. 그럼 저축을 한다면 어떤 상품에 넣는 것이 좋을까요? 금융권에서 일하는
직장
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모범 답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조사결과 ‘세뱃돈으로 자녀명의의 예·적금에 가입하겠다’는 답변이 41.3%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어린이펀드 투자가 30.9%로 2위를 차지했고 ... ...
터치 맨투맨 기초영어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갖기 시작한 학생이나 무료한 통근길 옛 추억에 잠시 젖어 알찬 시간을 보내고 싶은
직장
인이라면 몰라도. 편집자 주 '터치 맨투맨 기초영어'를 모니터링하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디지털 노마드’ 배너를 클릭하고 댓글을 달면 된다. 2명을 추첨해 체험 기회를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온 한 청년이 있었다. 그런데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아 바라던 곳보다 훨씬 못한 곳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해야 했다. 그러다 보니 자신도 모르게 “내가 누군데” 하면서 안하무인의 태도를 보이기 일쑤였다. 그 결과 사람들과 끊임없이 부딪치자 견디지 못하고 병원을 찾게 됐다. 상담을 통해 그는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체형과 같은 마네킹을 만드는 데도 사용된다.내게 맞는 의자와 베개는?학생이나
직장
인은 하루의 많은 시간을 의자에서 보낸다. 몸 치수에 맞는 의자에 앉을 때 하루가 편하다. 이름난 회사의 의자가 수십만 원씩 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1990년대 중반만 해도 대부분의 의자는 세가지 정도의 ... ...
청정 원자력 발전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겪고 있었다. 10년 뒤의 모습을 상상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1999년 석사과정을 마치고
직장
생활을 하다가, 2004년 황일순 교수의 ‘청정 원자력 발전에 대한 비전’에 매료돼 학교로 돌아와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고준위 폐기물인 사용 후 핵연료를 핵비확산적 기술로 분리해내고 이를 액체금속 냉각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