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뼈
등골
척추골
등골뼈
척수골
척수
등심대
d라이브러리
"
척추
"(으)로 총 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괴로우셨나 봐요!50Hz 미만의 저주파인 소음진동은 귀로 들리는 소리는 작지만 피부나
척추
같은 몸 부위를 떨리게 하면서 불쾌하게 만들어요.위층에서 뛰거나 물건을 떨어뜨리면 저주파가 생겨나요. 다른 소리와 달리 저주파는 벽과 천장, 배수관 등을 타고 퍼지기 때문에 소리가 멀리까지 크게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못했지만, 새로운 종일 가능성이 높다.우리가 발굴한 이 모든 화석들은 고비 사막이
척추
고생물학의 메카임을 다시 한 번 증명하고 있다. 앞으로 공룡의 다양한 수수께끼가 이곳에서 밝혀질 것이다. 이런 연구들이 모이면 공룡이 멸종하지 않고 생존했던 모습을 더 치밀하게 되살릴 수 있지 않을까. ... ...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무중력 시트’다. 인체 무게가 많이 쏠리는 부분은 더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 근육과
척추
에 미치는 피로를 최소화했다.엔진 소리를 ‘작곡’해야 소비자 마음 훔친다최신 전자기기에 내장된 수많은 기능은 기억하기도 어렵다. 정 교수는 “복잡한 기능을 복잡한 채로 내놓으면 아무도 쓰려고 하지 ... ...
Part 1.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훈련으로 다리 근육의 긴장도와 탄성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김연아가 복부와
척추
의 근육이 탄탄해 균형감이 뛰어난 것도 명품 점프의 비결이다. 이 부위를 ‘코어 근육’이라고 부르는데, 겉에 있는 큰 근육은 큰 힘을 내는 데 중요하고 깊은 곳에 있는 작은 근육은 균형을 잡는 데 중요하다. ... ...
3억 5000살 먹은 전갈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8호
올라오기 시작했지요. 이후 4억 1600만 년 전 실루리아기 말에는 거미나 전갈 같은 육식 무
척추
동물까지 육상 생활에 적응했답니다. 이들의 활약 덕분에 고생대 중기 이후에는 다양한 육상 동물들이 번성할 수 있었지요. 연구팀은 곤드와나 전갈을 통해 아직 수수께끼가 많은 곤드와나의 육상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헤모글로빈에 결합하는 과정은 참이 없었으면 밝혀내기 어려웠을 것이다. 사람을 비롯한
척추
동물의 적혈구 속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은 몸속에서 산소를 운반한다. 과학자들은 1960년대부터 산소가 헤모글로빈에 결합하는 과정을 연구해왔지만 실험을 통해서는 밝힐 수가 없었다. 낮은 산소 농도를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물에서 직접 영양분을 흡수하던 무
척추
동물과 입으로 시작하는 소화기관을 갖고 있는
척추
동물 사이에 있는 단계를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아예 입을 원래와 반대 용도로 쓰는 동물도 있다. 앞으로 먹은 것을 뒤로 뽑는 것이 자연의 이치인데 거꾸로 앞으로 뽑아 버린다는 소리다. 지난해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석사졸업 논문 제목이 ‘인간의 운동능력 해석’이었다. 사람이 물건을 들어 올릴 때
척추
와 추간판(디스크)이 받는 저항력을 연구한 것으로, 지금처럼 여러 가지 학문을 합쳐서 연구하는 융·복합연구가 활성화 돼 있지 않던 시절이다 보니 기계공학과 학생이 연구했을 거라고 보기는 어려웠던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발성 기관과 혀가 발달해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수많은
척추
동물이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었던 건 다양하게 진화한 입 덕분이다. 단순한 구멍에서 시작한 입은 이제 사람이 문명을 유지하는 데도 빼놓을 수 없는 기관이 됐다.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이빨로 식물과 곤충을 먹었다. 지난해 10월 스티븐 체스터 미국 예일대 교수팀이 미국
척추
고생물학회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이 동물은 발목이 매우 유연해 나무에서 균형을 잡기에 유리한 구조를 가졌다. 나무에서 균형을 잡는 특성은 중요하다.영장류는 오늘날에도 뚜렷한 특징이 있는데, 가장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