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천문
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참가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
천문
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3월 1일 어과수 홈페이지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 ...
[특집] 뒤집어도 돌려도 똑같다?! 거울 나라의 앨리슨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놀이북 4쪽과 함께 보세요! 앨리슨은 늘 거울 나라가 궁금했어요.‘거울 나라는 어떻게 생겼을까? 저 거울에 비쳐 보이는 것처럼 모든 게 여기와 같으면서도 좌우가 바뀐 모습일까?’ 매번 거울 속으로 들어가 보려 했지만 단단한 겉면이 앨리슨을 막아섰지요. 오늘도 안될 걸 알면서도 앨리슨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Episode 2. 발사 실패의 원인은 부력?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2021년 12월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누리호가 그해 10월 21일 처음 발사됐을 때 목표했던 궤도에 진입하지 못한 원인을 발표했어요. 산화제 탱크 속 헬륨 탱크의 고정 장치가 주요 원인이었어요. 비행 중에 고정 장치 1개가 빠지면서 그 여파로 산화제 탱크에 균열이 생겨 산화제가 새어 나갔기 때 ... ...
[특집] 우주로 향하는 거대 거울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가장 넓이가 큰 도형이지요. 거대 마젤란 망원경을 만드는 일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
천문
연구원의 이호규 선임연구원은 “거울의 재료를 틀에 붓고 뜨겁게 녹인 후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며 모양을 만드는데, 이때 원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쉽다”고 말했어요. ▲ 거울을 만드는 틀에 특수 유리를 ... ...
인류멸망시나리오② 10km급 천체가 떨어져 겨울이 찾아왔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가스는 태양빛에 의해 내부의 얼음이 승화돼 만들어진다. 보통 화성과 목성 사이인 2.5AU(
천문
단위, 1AU=태양~지구 거리)부터 나타난다. 이때부터 망원경에 뿌연 천체로 나타난다. 이때까지 혜성의 평균속도는 대략 초속 18km다. 만약 이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는 궤도에 있다면, 지구와 충돌하기까지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프로젝트가 2개 진행 중이고 소행성 관련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심 선임연구원은 “
천문
연은 기존에 NASA와 함께 각종 임무를 해본 경험이 여러 차례 있었기에 이번 프로그램을 총괄하겠다고 제안했을 때 이미 신뢰 관계가 두터운 상태였다”고 밝혔다. 최 책임연구원은 “공동 논문을 쓰는 등 아주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대멸종 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하며 대비하고 있어요. 현재 우리나라의 한국
천문
연구원은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서 지구 가까이 다가오는 소행성을 감시하는 우주환경감시기관을 운영하고 있지요. 하지만 지구로 다가오는 소행성을 발견했다면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지금까지 소행성에 ... ...
뉴 스페이스를 이끌고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1호
하나도 없는 것도 위성 산업이 직면한 문제다. 세 연구원을 포함해 NST의 연구원 대부분도
천문
우주학과를 졸업했다. 신 연구원은 “학부 시절 12명의 수강생이 모여 가상으로 인공위성을 설계하는 수업을 듣고 위성에 관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하지만 관련 연구소에 취업하려고 해도 ... ...
[이재형
천문
대장] 과학동아
천문
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1호
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당첨자 중 2명을 뽑아 과학동아
천문
대 입장권을 드립니다. ★이번 퀴즈의 정답과 당첨자는 2월 1일 어과수 홈페이지 선물터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 ...
[2022 필즈상 예측]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허준이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1호
공간 안에 구를 최대한 많이 쌓는 방법에 관련한 문제입니다. 1620년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
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가 3차원에서의 답을 추측하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3차원 문제는 1998년이 되어서야 케플러가 추측한 답이 맞다는 것이 증명됐고, 4차원 이상에 대해서는 계속 답을 찾고 있었습니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