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츄리
추리
나무
tree
d라이브러리
"
트리
"(으)로 총 306건 검색되었습니다.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건설하였다.90만kW급 원자력발전소 90기가 필요로 하는 농축 우라늄을 공급할 수 있는
트리
카스탱공장은 단연 세계 최대의 우라늄농축 공장이다. 이 공장은 서방 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농축 우라늄의 약 40%를 공급하고 있다. 우라늄235의 농도를 3~4% 정도까지 높이는 농축방법으로 전기가 많이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MS-DOS를 비롯해 ISU사의 워드프로세서, 퍼스널 소프트웨어사의 비지캘크, 피치
트리
사의 회계계산 소프트웨어를 채택했다. 뿐만 아니라 시어스 및 컴퓨터 랜드의 전국적인 체인점을 이용해 판매함으로써 IBM은 기본적인 설계만 했을 뿐 실질적으로는 아무것도 한 것이 없었다는 지적이다.그러나 ... ...
협동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먹여살리는 과정으로 이어진다.아프리카의 털없는 두더지는 설치(楔齒)동물중 히스
트리
코그나디계에 속한다(기니피그와 호저도 여기에 포함된다). 이 두더지는 진짜 쥐의 털없는 새끼처럼 보이지만 우리 인간이 흔히 털이 보송보송한 어린 고양이나 강아지를 볼 때 터뜨리는 "어머나, 정말 귀엽게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있다.그가 사이 티픽어메리컨지 최신호에 밝힌 연구결과에 따르면 뿔을 가진 공룡
트리
케라트라푸스의 속도는 9m/초 정도이며, 초식공룡 아파트사우르스는 코끼리와 비슷한 7m/초 정도라는 것. 생각보다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였음을 알 수 있다. 거대한 몸을 이끌고 씩씩거리면서 달리는 모습을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주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3세대 세팔로스포린중 비교적 항균력이 낮은 세프
트리
아손(Ceftriaxone)이 가장 많이 팔리고 있는 이유는 하루에 한번만 주사해도 되는 항생제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베타락탐계 항생제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의 하나가 되고 있다 ... ...
금속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요오드/음료수를 통해서도 얻을 수 있어요오드(iodine)는 갑상선호르몬인 티록신과
트리
요오드티로닌의 필수성분이다. 음식중에 요오드가 부족하게 되면 갑상선종이 생기고 갑상선이 커진다. 요오드결핍으로 인한 갑상선종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지만 세계 여러나라에서 환자가 ... ...
독특한 철학과 프로그램공개로 성공한 새로운 운영체계「유닉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애용한다.다른 한편으로 유닉스는 독특한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흔히 계층적
트리
(tree) 구조라고 하는데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파일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MS-DOS가 가지는 파일의 구조도 유닉스에서 가져온 것임을 알아두기 바란다.게다가 유닉스는 다른 운영체계에 비해 매우 ... ...
PARTⅠ 뉴미디어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있다.80년대초부터 다우존스 D&B 등 정보회사와 로이터통신 뉴욕타임즈 월스
트리
트저널 등 통신·신문사들이 독자적인 DB망을 구축하고 정보판매에 나서고 있다. 일본에서는 경제지들을 중심으로 기업 해외정보관련 DB를 별도로 제작, 컴퓨터망을 통해 독자들에게 서비스하고 있다.전자신문들이 ... ...
로터스의 기본적인 사용법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엔터 키를 누른다. ESC키를 누르면 앞의 메뉴로 돌아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메뉴를
트리
메뉴(tree menu) 또는 메뉴라고 부른다. 이 메뉴 시스템은 로터스의 모든 기능을 종류별로 묶어 놓은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준다 우리는 ←, →, 엔터, ESC의 네가지 키를 ... ...
데이콤의 새로운 서비스 PC VAN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다른 의견을 내놓아 어느것이 답변이지 뒤죽박죽이 된 경우가 많았다. 이번 서비스에는
트리
(tree)구조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했다. 즉 상위의견과 하위의견이란 개념을 도입, 어떤 의견에 대한 응답인지 또는 새로운 의견인지를 나누어 논점별로 정리한다. 따라서 토론에 늦게 참여하는 사람이라도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