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사진"(으)로 총 1,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무성한 잎이나 가지를 쳐내며 나무는 태풍에 더 잘 견디고, 미관상으로도 한층 아름다워진다. 사춘기의 뇌도 나무처럼 ‘가지치기’를 한다. 유아기에 급성장하며 가지를 뻗어온 신경세포들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친구들 신경 쓰면서 부모님 눈치도 봐야 하고, 공부에 집중을 해야 하는데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인류가 탄생한 수백 만년 전부터 지금까지 풀지 못한 난제입니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명 현상을 분석하려고 노력해왔습니다. 1970년대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이 등장하면서 그 길이 열리는 듯 했습니다. 인간게놈지도가 완성됐고, 여러 생물의 유전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7년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우리나라가 1978년 공식적으로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두 번째로 강력한 지진이었다. 규모 5.8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경주 지진이 발생한 지 불과 1년 만이었다. 그간 지진 발생이 잦지 않았던 국내에서는 사실상 지진 연구가 ... ...
- 한눈에 보는 수학동아 교과 단원 맵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수학동아의 ‘QUIZ KING&KAIST’에 참여한적 있나요? KAIST의 동아리 ‘수학문제연구회(이하 수문연)’가 만든 문제를 기발한 만화로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여러분은 몰랐겠죠. 매달 ‘엽기사진’만 찍는 줄 알았던 동아리원이 사실은 굉장히 똑똑했다는 걸요! 수문연의 위성군, 최대범, 한석근 씨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998년 첫 모듈을 쏘아 올린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지금의 모습을 갖춘 건 2010년이었다. 2005년 완공하겠다던 계획은 2003년 우주왕복선 ‘컬럼비아’의 폭발 사고와 2008년 금융 위기 등으로 계속 미뤄졌다. 당초 ISS의 설계수명은 2020년이었다. 완공 10년 만에 미국과 러시아의 공동 작업을 통해 점 ...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지난 12월 2일, 이화여자대학교 LG사이언스홀에서 2017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이 열렸어요. 올 한 해 동안 열심히 탐사한 160명의 탐사대원들이 한자리에 모였지요. 지금 바로 수료식 현장으로 떠나 봐요. 한 해를 돌아보는 지사탐의 축제, 수료식!“지구사랑탐사대 5기 수료식을 시작합니다~!”지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직접 빛 공해를 측정하자! 시민과학 프로젝트 빛 공해와 관련된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한창이에요. 먼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찍은 밤하늘 사진을 분류하는 ‘시티스 앳 나이트(Cities at night)’ 프로젝트가 있어요. 2007년 스페인 마드리드 콤플루텐세대학교의 알렉산드로 산체스 연구원이 시작했지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한 개기일식1919년 5월 29일, 역사상 가장 유명한 개기일식이 일어났어요. 바로 1915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한 개기일식이지요.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무거운 질량을 가진 물체는 강한 중력으로 인해 주변 시공간을 구부러뜨려요. 이때 그 주위를 이 ... ...
- [과학뉴스]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재난현장에서 수색과 구조 활동을 펼치는 인명구조견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용 슈트가 개발됐다. 활동 중인 구조견의 상태를 슈트로 시각화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노 카즈노리 일본 도호쿠대 미래과학기술공동연구센터 교수팀 등 공동연구팀은 구조견의 심전도와 활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편집자주: 이번 화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간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나풀나풀, 속이 투명한 나비가 날갯짓을 하는 듯한 이 광물은 탄산칼슘(CaCO3)으로 이뤄진 방해석이다. 마치 조각가가 정교하게 깎아놓은 것 같지만, 인간의 손길은 전혀 닿지 않은, 자연이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