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방향"(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의 소소한 그림 클럽] 두 개의 그림 모임을 하나로 운영합니다.포스팅 l20220219
- 향상보다 합작이나 그림의 소통 등 소통 위주로 운영됩니다. 두 가지의 미션을 드리고 원하는 방향으로 택하여 참여해주시는 방향으로 운영합니다.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오늘 이 시간부로, 나소그모와 그소그모는 하나의 모임으로 운영합니다. 모임원 모집도 다음 게시글에서 새롭게 다시 받으며, 기존의 모임원분들은 ...
- 카이퍼 벨트와 왜소행성에 대해 알아보자!(2부)기사 l20220218
- 그것은 대기층이 단단하게 얼어붙어 땅으로 떨어진다는 뜻이에요. 명왕성의 하루는 무려 153시간이에요.명왕성은 지구와 반대 방향으로 자전해서 밤이 먼저 오고 그 다음에 아침이 와요 .그리고 명왕성은 태양을 도는데 무려 248년이 걸려요. 만약 그곳에 산다면 우리는 태어나서 1번 밖에 생일파티를 하지 못할 거에요. 명왕성에 사는 외계인은 슬프겠네 ...
- 신기루는 왜 생겨나는 것일까?기사 l20220217
- 알아볼려고 합니다. (출저:에듀넷) 신기루는 빛의 굴절 때문에 일어납니다. (*빛의 굴절: 빛이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진행할 때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의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 만약에 지표가 뜨거운 사막이나 아스팔트일 경우, 빛이 위쪽의 찬 공기로부터 지표 근처의 뜨거운 공기를 지날 때 굴절해 마치 땅에 물이 고인 것처럼 보입니다. 이 ...
- 귀상어는 왜 하필이면 머리가 망치모양 일까?기사 l20220216
- 큰 착각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레몬 상어,검은코 상어,보닛헤드 상어,홍살 귀상어,날개머리 상어로 실험한 결과 수직 방향을 감지하는 시각범위는 이들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평시각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죠. 바로 머리가 가장 긴 날개머리 상어가 일반 상어의 4배가 넘는 수치가 나온 것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우리는 "귀상어라고 양안 ...
- 픽크루로 호그와트포스팅 l20220216
-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그리, 슬리, 후플, 레번 입니당.. 넷 다 남캐구욥 순서 똑같이 그리슬리후플레번에 넷 다 여캐입니다! 그리핀도르 빨간 머리 두명은 남캐가 오빠인 남매고, 레번 남캐랑 후플 여캐는 쌍둥이입니당~~ 진심 제 취향들만 모았어요 저 얼굴에 용감하거나 야망가거나 착하거나 똑똑하다고 해봐요 완전 치이지 않아요 진심ㅠㅠ ...
- 그 절대 예측 불가한 세계 - 미시세계기사 l20220214
- 거에요! 보기만 해도 답이 바뀔 태니까요. 이건 진짜 말이 안돼죠, 보기만 해도 바뀌다니... 2. 측정 불가. 미시세계에는 원자의 속도와 방향을 동시에 아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이건 불확정성 원리를 알아야 되는데 위치를 알면 속도를 못 알고 속도를 알면 위치를 못 압니다. 이상, 오진우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 2022 컬링 경기장, 원래는 수영장 이였다고?기사 l20220214
-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경기장의 빙판 표면에는 페블 이라고 하는 돌기가 나 있는데, 이 돌기를 컬링 빗자루로 문질러 원하는 방향으로 미끌어지게 하는 것 입니다. (출저: Platforma Arquitectura) 컬링 경기장이 수영장 이였다고?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사용된 컬링 경기장은 사실 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 때 ...
- 고양이 수염의 비밀!기사 l20220212
- 물체가 이동할 때 생기는 공기의 파동을 느껴요. 그래서 잘 안보여도 움직일 수 있지요. 2.균형 유지! 고양이의 수염은 바람의 방향을 읽어요. 그것 덕분에 몸매를 뽐내며 우아하게 높은 곳에서 걸을 수 있답니다. (좀 부러워요) 3.좁은 곳 들어가기! 고양이가 상자 같은 좁은 데에 들어가는 걸 아시는 분들이 많을 거예요. 키우시는 분들 중에는 ...
- 파커 탐사선 그 미지의 세계행 기차가 출발합니다!기사 l20220207
- 극적인 태양풍 입니다. 지구에서 관찰한 태양풍은 변한없어 보이지만 파커 탐사선이 가까이에서 관측한 결과 태양풍 내부의 자기장 방향이 갑자기 홱 홱 역전되어 바뀐다고 해요.연구팀은 수위치백 이라고 부르기로 했데요. 그렇다면 두번째로는 태양풍속 먼지 감소 포착인데요. 약 1000만 킬로미터 지점에서 먼지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았고 640만 킬로미터 ...
- 바다의 패권은 누가 가져가게 될까?기사 l20220206
- 활성화된다면 한국은 아마도 북극항로 애용자 라인업에 들어갈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무역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물론, 다른 방향으로도 이득을 도모할 수 있죠. 한여름이 아닌 이상 여전히 얼음이 떠다니는 북극해의 환경상 쇄빙선의 수요가 늘어날 수 밖에 없겠죠. 세계최고의 조선 기술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인 만큼 쇄빙선 제조 기술에 더 투자하여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