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양
도안
모양
도형
본
의장
반점
뉴스
"
무늬
"(으)로 총 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8.01.30
손에 천을 감는 원리와 유사하다. 키사일러스 교수는 “사마귀 다리에서도 유사한 줄
무늬
구조가 발견된다”며 “고성능 합성 소재를 개발하는 데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02/adma.20170529 ... ...
갯가재 집게발이 단단한 이유...로봇에 적용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1.16
키사리우스 교수는 “권투할 때 손에 감는 헝겊처럼 특정 패턴을 가진 내부 줄
무늬
가 집게발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 시키는 것”이라며 “(이를 응용하면) 각종 스포츠 용품뿐 아니라 우주 탐사 로봇의 내구성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지구에서 가장 검은 새,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안에 갇힌다. - 하버드대 제공 수컷이 암컷에게 구애할 때 마치 ‘스마일 마크’ 같은
무늬
를 펼쳐 보이는 것으로 유명한 최고극락조(Lophorina superba)는 화려한 색과 함께 부자연스러워 보일 정도로 칠흑 같은 검은 몸빛이 특징이다. 지구에서 가장 검은 새로 불리는 이 새의 비밀이 최근 풀렸다. 다코타 ... ...
오리일까? 토끼일까? 오리토끼 착시 실사
팝뉴스
l
2018.01.09
어두운 색 부분을 보면 오리로 잠시 착각할 수도 있는 것이다. 화제의 토끼는 별난
무늬
를 타고 났다. 한편 위 그림에서 오리와 토끼 모두를 쉽게 찾아내는 사람이 좀 더 창의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나온 바 있다. 사고가 더 유연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반면 하나만 보인다면, 완고하거나 신념이 강한 ... ...
카리브 해의 노란 태양
팝뉴스
l
2017.12.27
커다랗다. 물속으로 잠기는 태양은 노란 색이다. 구름이 이 노란 태양에 어두운 줄
무늬
를 드리웠다. 사진보다는 만화나 그림 같다. 카브리 해의 아름다운 일출을 담은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인기다. 말 그대로 그림 같은 일몰 장면인데,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촬영된 것이라고 사진 공개자는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대개 미화석은 불규칙한
무늬
를 보이는데 도드 화석의
무늬
는 규칙적이다”라며 “생명체 탄생이 35억 년 이전이라고는 생각되지만 그 흔적이 남아 있을 가능성은 아주 작다”고 말했다. 한편, 생명체가 35억 년 전에 있었음이 정설로 굳어짐에 따라 과학자들은 ... ...
미술 치료계의 왓슨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밝혔다. 만다라는 밀교에서 유래한 그림이다. 전체적으로 원 형태를 가졌는데 다양한
무늬
가 반복된다. 만다라 체험은 만다라 도안에 색을 칠하는 활동으로, 그림을 서로 다른 색으로 꼼꼼하게 칠해야 한다. 김 교수는 치매 환자가 칠한 만다라 500장을 분석해 진단 AI를 만들었다. 색을 다양하게 ... ...
애써 보호한 수마트라 호랑이 또 사라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2.06
위협을 받는 처지가 됐다”고 덧붙였다. 호랑이는 사람의 지문처럼 개체마다 고유한
무늬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구팀은 호랑이가 다닐 길목에 수백 개의 카메라를 설치해 두고 1년간 추적한 자료와 기존에 조사된 호랑이 개체수 추정치를 종합해, 특정 영역에서 ... ...
먹기에는 너무 아까운 음료 스무디 아트
팝뉴스
l
2017.12.03
제공 카페라테로
무늬
를 만들어 대접하는 커피숍은 흔하다. 하지만 ‘스무디 아트’를 하는 가게는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뉴질랜드의 아마추어 아티스트 헤이즐 자카리아는 스무디 한 잔을 예술적인 수준으로 장식하는 전문가이다. 그녀가 만들어낸 ‘스무디 아트’는 한마디로 입이 딱 ... ...
소중한 내 스마트폰 렌즈, 드디어 얇아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1.28
김 연구위원팀은 매우 얇고 평평한 탄소 재료인 ‘그래핀’과, 물질 표면에 미세한
무늬
를 새겨서 이를 통해 빛의 반사나 휘어짐을 조절하는 ‘메타 표면’ 기술을 동시에 응용했다. 그래핀은 얇고 잘 휘는 판 모양의 물질인데, 전기가 잘 통하는 성질이 있다. 연구팀은 이온 겔과 고분자 기판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