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뉴스
"
민감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영제 안쓰고 저산소 상태 유도해 뇌 혈류 반복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연구진은 “이는 기존방법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신호 감도가 높아 작은 MRI 신호 변화도
민감
하게 측정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혈류 측정 시스템은 단기간에 반복측정이 가능해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뇌 조직뿐만 아니라 온몸에 걸쳐 발생하는 허혈성 질환, 암 질환 ... ...
신변종 호흡기 바이러스 수십초만에 선별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발생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기기가 필수적이지만 기존 진단기기는
민감
도와 특이도가 낮다. 현장에서 진단하는 데 한계가 있어 정확한 진단을 위한 유전자증폭검사(PCR)와 같은 별도의 검사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그래핀 소재를 활용해 수십 초 만에 다수의 호흡기 바이러스를 ... ...
"국내 첫 민간 SAR위성 성공했지만…역량 잇기 어려운 게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7
국방과학연구소가 주도하는 사업의 자금 지원을 받아 개발된 SAR은 특성상 보안에
민감
할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이 최소한의 연구를 이어갈 수 있는 유연함이 필요하다는 것이 오 교수의 이야기다. 그는 "연구자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살펴야 '인적 우주헤리티지(우주개발성공경험)'이 ... ...
[과기원NOW] GIST 연구진 "지구온난화, 대규모 대기 흐름 증폭시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기기에 활용하려면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해야 한다. 플라스틱은 온도에 매우
민감
해 고온이 필요한 메조 다공성 금속 산화물 합성 공정에 사용할 수 없는데 연구팀은 필라즈마를 이용해 얻은 에너지로 저온 합성에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게재됐다 ... ...
사라지고 있는 산호초 4년만에 '완전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이식한 뒤 4년간 관찰했다. 나뭇가지형 산호를 이식한 이유는 다른 산호종보다 탈색에
민감
해 복원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4년 뒤 관찰 결과 이식된 산호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정상적인 산호초 생태계가 조성됐다. 연구팀은 복원 속도와 실제 복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 ... ...
블루라이트가 건강에 안좋다?…"악영향 근거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결과에 따르면 신경내분비계와 생체리듬이 380~550나노미터(nm)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SWL에
민감
하다. SWL에 노출되면 멜라토닌 수치가 떨어지면서 24시간 주기리듬이 망가지고 수면의 질이 떨어지거나 불면증이 생긴다는 연구결과도 확인됐다. 하지만 연구팀은 앞선 실험 연구들의 증거가 ... ...
신현석 성균관대 교수, IBS 양자 소재 분야 신규 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이용해 현재 반도체 산업에 사용되는 소재보다 유전율(외부 전기장에 반응하는
민감
도)이 30% 이상 낮은 새로운 초저유전 소재를 개발해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으로 선정됐다. 신 단장 연구팀은 ‘화이트 그래핀’으로 불리는 육방정계 질화붕소를 다층 단결정 형태로 대면적 제작할 ... ...
악천후에도 자율주행차 잘 달리게 돕는 '라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레이저 왕복 시간을 측정해 이미지를 구현했다. 문제는 이 방식의 라이다가 태양광에
민감
하고 차량 간 간섭이 심하다는 점이다. 안개, 눈, 비가 오면 이미지를 잘 그려내지 못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라이다는 FMCW 방식의 라이다다. FMCW 방식은 레이저를 연속으로 변조해 발사하고 돌아오는 파형을 ... ...
'빛 회절 난제' 극복한 광 디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수명은 50~100년에 이른다. 기존 반도체 기반 저장 장치의 경우 온도와 습도, 먼지에
민감
하게 영향을 받으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도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실제로 2022년 기준 중국 전역에서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데이터센터가 소비한 전력은 2700억킬로와트시(Kwh)에 이른다. 3~1 ... ...
빨아 쓸 수 있는 OLED 전자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OLED 구조. 한국연구재단 제공. 섬유 기반 웨어러블 OLED는 고온과 강한 자외선 등에 매우
민감
해 발광 특성을 잃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 수분에 취약해 세탁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도 실용화가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연구팀은 고성능, 고신뢰성 섬유 기반 웨어러블 OLED를 구현하기 위해 ‘다기능성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