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에서 치명적 바이러스 막는 백신 만든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27
페이퍼칩기술’과 동물세포를 배양하는 대신 식물세포로부터 백신을 생산해내
병원균
감염을 차단하는 ‘식물생산 백신(그린백신)’ 등 보건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미래기술들도 이번 10대 유망기술에 선정됐다. KISTEP 손병호 미래전략본부장은 “이번 10대 미래유망기술 발표는 단순히 ... ...
벌꿀과 호박벌의 슬픈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호박벌도 감염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영국 전역에서 꿀벌과 호박벌을 채집해
병원균
감염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두 벌은 동일한 병원체에 감염돼 있었다. 양봉업자가 키우는 상업 곤충인 꿀벌의 질환이 야생의 호박벌도 감염시킬 수 있다는 말이다. 유전자 변이된 DWV도 두 벌에서 같은 ... ...
상어 게놈 분석하니 면역계 진화비밀 풀리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2차 면역반응이란 한 번 감염됐던 병원체를 면역계가 기억해
병원균
이 다시 침입했을 때 더 빠르고 강하게 대응하는 것을 말하는데, 사람들이 각종 백신을 맞는 것도 이를 위해서다. 문제는 상어는 2차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없음에도 질병에 강하고 비교적 ... ...
사람도 겨울잠 잔다고?
과학동아
l
2013.12.27
않는다. 그러다 각성 상태가 되면 체온이 오르면서 면역체계가 가동돼 바이러스와
병원균
을 한꺼번에 물리친다. 최인호 연세대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는 “겨울잠 동물들이 각성할 때 증가하는 열충격단백질 발현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면 우주인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 ...
석회 속 유골로 역사를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이끌고 있는 오하이오주립대의 생체분자 고고학자 주세페 베세로티 박사는 “고대
병원균
들의 진화 과정을 추적하면 현대의 바이러스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처를 입은 뒤 아문 피부는 주변 피부와 달리 나은 피부는 만질만질하다. 상처에서 재생된 피부에는 ... ...
나노입자로 연결된 면역세포, 면역력 2배
동아사이언스
l
2013.12.04
이용한 기존 면역항원보강제는 염증이 일어나는 부작용이 있었다. 유 교수 연구팀은
병원균
침입시 가장 먼저 대응하는 수지상세포와 항체를 만들도록 지시를 하는 T림프구를 금과 니켈로 된 나노입자로 연결해 면역반응을 강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4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길이의 ... ...
알고 먹으면 더 아삭한 '김치'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동안 염분에 강한 내염성 세균인 ‘젖산균’이 살아남는데, 이 젖산균은 다른 유해
병원균
의 번식을 억제함으로써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 젖산균은 비타민B1~B3, 니아신 등 각종 비타민 B군 영양소를 크게 증가시키는데, 이들 영양소는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만큼 수능시험을 앞둔 ... ...
동남아에 퍼진 설사병 원인균 생존 비결은?
동아사이언스
l
2013.10.06
균주가 생산하는 세균을 죽이는 항생물질 ‘콜리신’을 만들어냈다. 콜리신이 다른 장내
병원균
을 제거한 덕분에 시겔라 소네이균이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 2006년에는 페니실린이나 구강항생제에 저항성을 갖는 효소 ‘ESBL’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돼 생존 능력을 더욱 ... ...
한반도 '열'받아도, 벼 수확 걱정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줄기에 흑갈색의 타원형 얼룩을 만들면서 발육을 방해한다. 안 박사팀은 전혀 다른 이 두
병원균
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품종을 개발하고 있는 것이다. 안 박사는 “현재 OSABP57 유전자를 적용한 품종의 안전성을 테스트하고 있는데, 수년 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두 병해에 저항성을 ... ...
왜 여성은 남성보다 감염에 취약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09
여성에게 찾아오는 골칫거리 중 하나. 이 질환은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계가 체내 조직을
병원균
으로 인식해 공격하면서 생기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으로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3배나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금까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면역학자 사브라 ... ...
이전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