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노"(으)로 총 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2017.01.31
- ● 복수할테다! 집단적 나르시시즘은 자신들의 위대함에 상처를 입히는 대상들에게 분노를 느끼며 철저히 ‘복수’하는 것과도 관련을 보인다.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실린 한 연구에서는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영국인 교환학생이 미국을 좋게 평가하거나 ... ...
- 툭하면 눈물부터 납니다. 저 어떡해야 하나요?2017.01.21
- 같습니다. 슬픔이 주는 진화적 의미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불안이나 분노와 같은 감정과 달리 슬픔이 주는 생존상의 이득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분명 진화한 감정이니, 적합성을 올리는 어떤 이득이 있었음에 분명합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슬픔에도 불구하고, ... ...
- 자연의 힘, 해변에 떨어진 벼락 팝뉴스 l2017.01.10
- 모은 이미지다. 벼락이 어마어마한 위력을 과시한다. 해변에 떨어지는 벼락은 ‘신의 분노 폭발’의 표현인 것처럼 보인다. 촬영 장소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주의 바이런 베이. 사진작가는 위 사진이 현장에서 촬영한 영상의 스크린샷이라고 소개한다. 자연의 압도적인 힘을 다시 느끼게 만드는 ... ...
- 만인의 분노를 부르는 ‘우리 개는 안 물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1.09
- [당신의 반려동물은 안녕하십니까] ⑤ 개 주인의 희노애락 – 노 편 ‘너 이 노무 시키!’ 일단 시작은 유투브에서 사람들의 웃음을 유발하는 동영상으로 시작해볼까 합니다. 동영상이야 맘놓고 보면서 깔깔거릴 수 있지만 영상 속 집 주인이 나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저 장면을 보자마자 ... ...
- '살처분 매몰'에 멍드는 금수강산…호기·호열 매몰 방식 안전한가포커스뉴스 l2016.12.30
- 데이터도 하나 없는 이 방식을 자신있게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자들은 매우 분노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신 교수는 이어 "대표적으로 닭의 깃털이나 짐승의 털을 이루는 케라틴 성분은 호기성 미생물로는 전혀 분해가 되지 않는다"며 "오히려 혐기성 미생물이 필요하고 시간도 오래 ... ...
- 인터넷으로 TV를 샀는데 팝뉴스 l2016.12.21
- 했던 나무판임이 드러났다.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동정이 쏟아진다. 그리고 일부는 분노한다. 또 신뢰할 만하고 안전한 사이트에서 거래를 하는 것이 좋다는 평범한 지적도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촛불시위 승리 원동력은? ‘분노’ vs ‘자부심’?2016.12.13
- 더 많은 것을 투자하게 되듯 집단 행동에서도 비슷하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생각이다. ‘분노’ 역시 동력이 되지만 화의 문제는 정신적, 육체적 소모가 크다는 것이다. 화르륵 하고 몇 번 타오르는 것은 좋으나 지속적인 화는 정신 건강과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 ...
- [영.혼.남의 3분 영화] 원전 재난주의보 발령! ‘판도라’, ‘라라랜드’, ‘원피스 필름 골드’ 2016.12.08
- *영.혼.남의 기대평: 지금 우리나라의 현실과 꽤나 높은 싱크로율을 자랑해 관객들의 분노와 울컥함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라라랜드 - 판씨네마(주) 제공 #2. 감독: 데미안 차젤레 출연: 라이언 고슬링, 엠마 스톤 포스터만 봐도 낭만이 쏟아져 내릴 것만 같은 영화 는 ... ...
- [대통령 담화 감성분석] 3차 담화문은 ‘사과문’이 아니었다?2016.12.07
- 발표되고 촛불 민심은 폭발했다. 왜 그럴까? 어떤 감성이 읽혀졌길래 국민들은 더욱 분노했던 것일까? 분석을 해보면 사과문의 성격과 달리 '긍정감성'(편집자주: 작성자인 대통령 관점에서 ‘긍정’의 의미임)이 더 많이 읽혀진다. 중간 중간 사과와 현재 심정의 괴로움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출구 ... ...
- [#촛불집회]집단행동의 심리학(하): 시위는 어떻게 종결되나? 2016.12.07
- 살인사건도 일어났습니다. 이탈자가 속출하면서, 결국 스스로 소멸해버리고 말았습니다. 분노는 집단 행동을 일으키는 힘이지만, 종종 그 안에 내재한 폭력성과 극단성으로 인해 스스로를 파괴하고 맙니다. 1960년 미일안보조약의 체결을 반대하는 33만명의 일본 시민들이 국회로 행진하고 있다.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