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조금
한모금
근소
약간
뉴스
"
소수
"(으)로 총 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림픽의 과학]약물은 옛말…걸리지 않는 도핑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이전에는 검출하기 어려운 약물 350~400종을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분자의 질량을
소수
넷째 자리까지 정확하게 구별해내는 정밀도를 보이고 있다. 도핑 기술은 지금도 치밀하게 진화하고 있다. 도핑 검사에서 걸리지 않는 운동 능력을 올리는 유전자나 혈액을 몸에 주입하거나 뇌의 특정 ... ...
사상 초유의 청해부대 집단감염…선박은 왜 코로나에 취약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등 다양한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가 점막으로 들어갈 가능성도 높다. 특히 선형적인
소수
의 확진자만 있어도 전파가 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는 것이다. 특히 동일한 공간이라고 볼 수 있는 선박 내에서 한두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면 승선한 모든 사람이 잠재적인 접촉자로 간주해야 한다. 외박을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최소공배수가 커서 다른 주기를 갖는 매미와의 교잡과 경쟁을 피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수
주기로 진화한 매미들이 자손들을 많이 남기고 살아남았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주기가 12년과 15년인 매미가 있다면, 60년 후에 두 종이 만나 교잡과 경쟁이 이뤄진다. 반면 13년과 17년 주기매미는 221년 ... ...
[주말N수학] 정수론 난제의 해결사, 테렌스 타오
수학동아
l
2021.07.17
인정받아 2006년 필즈상 수상으로 이어졌습니다. 또 2012년에는 ‘5보다 큰 모든 홀수는 세
소수
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을 일부 증명했습니다. 2015년에는 80여 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로 ‘1과로 이뤄진 무한수열의 합은 임의의 정수보다 크다’는 내용의 에르되시 불일치 ... ...
스마트폰으로 ‘알파고’ 돌릴 AI 반도체 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가능한 ‘프로세싱-인-메모리’ 연산기를 개발해 심층 강화학습의 속도도 높였다. 그간
소수
점 연산이 가능한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옴니DRL의 데이터 압축률을 기존 대비 최대 41.5%포인트 높였고, 압축된 상태로 연산이 가능하게 해 연산 속도는 ... ...
[표지로 읽는 과학]빅데이터를 통한 사회과학 연구, '힘과 위험' 공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0
연구에 완전히 동의하지 않았다는 점 또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여기에 데이터 대부분을
소수
기술기업이 독점하고 데이터 생산자들도 디지털 기기를 다수 활용하는 선진국에서도 부유한 국민들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 또한 지적했다. 네이처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도전하고 있는 과학자들의 ... ...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9
고가의 현미경이 필수다. 이런 이유로 그간 질병 관련 유전자 연구는 고가의 설비를 갖춘
소수
의 연구자에게만 허락된 일이었다. 이준희 미국 미시간대 의대 교수팀은 공간 바코드 기술로 현미경 없이도 초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셀’ 6월 1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④ 대학연구를 팀플레이로 도약시키자
2021.07.06
집중' 전략에선 소외된 분야였고 결국 우리 사회는 지금 그 댓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다.
소수
의 특혜 받은 연구팀으로는 예측 불가능한 미래의 위기에 대응할 수 없다. 정상적인 연구팀 구성이 보편적인 상식이 될 때 국내 과학기술계는 어떤 위기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연구의 다양성과 경쟁력을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③대학원 평가를 시작하자
2021.07.02
두뇌한국21(BK21)사업을 위시한 대학원 지원 정책들이 있었지만 이는 이미 잘 하고 있는
소수
대학원에만 혜택이 돌아가는데 그치고 있다. 이는 한국의 대학원 전반적인 역량 강화의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려면 더 많은 대학원에 혜택이 돌아가는 지원사업이 필요하다. 지원항목도 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부실학회, 장롱특허 그리고 출연연
2021.07.01
227명, 기관은 272개로가 넘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부실학술지와 부실학회 이용이 단지
소수
가 아닌 한국 과학기술계에 퍼져있는 광범위한 관행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놀라운 사실은 서울대가 부실학회 이용 학자 순위에서도 1위를 차지한다는 점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