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뉴스
"
수증기
"(으)로 총 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짬짜면 과학 교실] 세 가지로 변신하는 마술사
2018.04.21
눈사람이나 처마에 저절로 매달린 고드름이 영하인 날씨임에도 햇볕이 닿으면 천천히
수증기
로 변하는데, 이를 ‘승화’라고 해요. 이처럼 변화무쌍한 물(액체)은
수증기
(기체)가 되기도 하고 얼음(고체)이 되기도 해요. 또한
수증기
(기체)가 물(액체)이 되기도 하고 얼음(고체)이 되기도 해요. 또 ... ...
[짬짜면 과학 교실] 지구의 잠버릇
2018.03.31
기체와 액체와 고체로 돼 있습니다. 그 기체를 ‘화산 가스’라고 하는데 그 대부분은
수증기
이며 이산화탄소 같은 몇 가지 기체도 섞여 있습니다. 액체 상태의 화산 분출물은 대부분 ‘용암’입니다. 용암은 땅속에 있던 암석이 지구 내부의 높은 온도에 녹아서 생긴, 마치 펄펄 끓는 쇳물 같은 ... ...
위성이 포착한 실제 미세먼지 움직임
동아사이언스
l
2018.03.27
환경공학과 교수와 배창한 연구원팀이 가공해 시각화했다. 기존 위성 영상에 보이던
수증기
나 구름 등이 제거돼 미세먼지의 움직임만 더욱 정확히 관찰할 수 있다. 22~23일 중국과 서해안에 머물던 고밀도 미세먼지(붉은색)가 24일 한반도에 고여 있는 모습이 드러난다. 25일 오후에는 일시적으로 ... ...
가짜 방귀왕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3.19
들리더니 두꺼비가 폭탄먼지벌레를 토해 냈답니다. 폭탄먼지벌레가 폭발을 일으켜
수증기
와 벤조퀴논을 두꺼비의 소화기관에 뿜어댄 거예요. 그러자 따가움과 뜨거움을 이기지 못한 두꺼비가 다시 폭탄먼지벌레를 입밖으로 토해낸 거죠. 이렇게 죽다 살아난 폭탄먼지벌레는 전체의 43%에 해당해요. ... ...
佛연구팀, 눈송이의 비밀 수학으로 풀었다
수학동아
l
2018.02.06
여러가지 모양의 결정이 생긴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온도와 얼음에 대한 물의 포화
수증기
압의 차이에 따라 대략적은 형태만 크게 분류만 해놓은 상태다. 그런데 눈결정이 자라는 모습을 수학으로 묘사할 수 있다면 그 과정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질 드망주 프랑스 루앙대 ... ...
[출동!기자단] 콜록콜록~, 미세먼지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1.29
산소로 이뤄져 있는 화합물질이에 요.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산화물을 질소 기체와
수증기
로 분리하면 미세먼지로 변하는 것을 막을 수 있지요. 지난 2013년 우리 연구팀은 이런 역할을 하는 친환경 촉매(자신은 변화하지 않으면서 다른 화학 반응을 빠르게 하거나 늦추는 역할을 하는 물질) 를 ... ...
[짬짜면 과학 교실] 과학 공부의 첫걸음
2018.01.13
있었던 원리나 규칙을 찾아내어 그것을 근거로 삼아야겠지요. 달무리는 공기 중에
수증기
가 많아서 생기는 현상이니 머잖아 비가 내릴 가능성이 많은 것처럼요. pixabay 제공 사람들이 알고 있거나 생각하는 것은 한결같지 않습니다. 그 정보나 생각을 서로 주고받는 일을 ‘의사소통’이라고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자나 깨나 불조심! 응급 소화기를 만들어 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1.13
물은 세 가지 요소 중 ‘높은 온도’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해요. 물이 불과 만나
수증기
로 변할 때 주변의 열을 뺏으면 온도가 떨어지지요.여러 소화기 중 가장 널리 보급된 ‘분말 소화기’에는 밀가루 같이 미세한 제1인산암모늄 가루가 들어 있어요. 제1인산암모늄도 높은 온도를 떨어뜨리는 ... ...
지구온난화 여파? 엘니뇨로 남극 빙하 방어막 무너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9
아문센해 빙붕의 하부가 녹으면서 질량이 감소했다. 바닷물이 상대적으로 따뜻해지면
수증기
가 늘면서 눈을 동반한다. 그러나 눈이 빙붕 표면에 쌓여 얼음이 되는 속도보다 빙붕 하부의 녹는 속도가 5배가량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라니냐 기간에는 빙붕의 질량이 다시 늘어나지만, 엘니뇨 ... ...
수도권 큰 눈 어디서 왔을까? 서해
수증기
가 근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일본, 두 나라를 감싸 안고 태평양으로 뻗어 나가는 큰 바다다. 여기서 생겨난 대량의
수증기
가 겨울철 찬 바람을 만나 눈으로 바뀌어 쏟아 두고 가는 지역이 일본 홋카이도와 도호쿠 일대다. 이 지역은 세계적인 대설 지역으로 유명하다. 그렇다면 동해에서 생겨난 눈구름은 왜 한반도로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