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약
뉴스
"
약물치료
"(으)로 총 1,9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암제 최적 투약 용량 예측 수학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8
김은정 KIST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 선임연구원(왼쪽)과 제1저자인 Masud M A 박사후연구원. KIST 제공. 항암제 내성을 고려해 최적의 투약 용량을 계산하는 수리 모델이 개발됐다.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은정 천연물인포매 ... ...
무증상 탓에 '소홀'…이상지질혈증, 혈관질환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사용한다. 심뇌혈관 질환이 있는 초고위험군이나 당뇨가 있는 고위험군은 적극적인
약물치료
가 우선이다.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스타틴을 주로 사용하고 소장에서 콜레스테롤 재흡수를 억제하는 에제티미브가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에제티미브는 단독 사용보다 스타틴 복합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라스(Ras)를 길들이지 못하면 암과의 전쟁에서 이길 수 없다." - 지데온 볼랙, 차오 장 1960년 미국의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연설에서 아폴로 계획을 언급했을 때 진지하게 생각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러나 불과 9년이 지난 1969년 우주인이 달에 첫발을 디디자 세계가 환호하며 ... ...
알츠하이머 위험 절반 이상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로 지목되는 베타 아밀로이드(Aβ) 단백질을 혈액-뇌 장벽을 통해 빠져나가게 하는 유전자 변이가 발견됐다. 베타 아밀로이드의 잘못된 침전을 막으면서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최대 70% 이상 낮출 수 있는 것으로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어린이가 쓴 맛이 나는 약을 먹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이 쓴 맛을 인식하는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다섯 가지 맛 중에서도 쓴 맛은 독성 물질을 섭취하지 못하게 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된 메커니즘이 미각 수용체를 직접 조절할 수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김동운 경희대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뇌 속 노화된 미세아교세포를 젊게 되돌려 뇌의 불순물을 먹어치우 탐식 및 인지기능을 높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김동운 경희대 교수와 신효정 충남대 뇌과학연구소 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뇌세포의 80%를 차지하는 교세포 중 미세아 ... ...
난청 치료 길 열어…베일 싸인 '귓속 단백질'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난청 및 균형 감각 기능 장애 치료법을 찾는 데 기반이 되는 연구결과가 도출됐다. Tatian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미국, 영국 공동 연구팀과 청각 기능에 관여하는 단백질 구조를 규명했다. 난청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포스텍은 조윤제 생명과학과 교수 연 ... ...
"가상현실 치료, 암 환자 통증 감소에 효과"
2024.04.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10분간 가상현실(VR) 체험에 참여한 암 환자들의 통증이 감소됐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통증 감소 효과는 하루가 지난 후에도 지속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헌터 그로닝거 미국 조지타운대 의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보통 이상의 통증이 있는 성인 암 입원 환자 128명을 대상 ... ...
소변 자주 마렵다면 '앱 기반 치료' 도움 될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않는다는 점도 확인했다. 그라츠 교수는 “배뇨장애를 가진 남성들은 고령이고 다른
약물치료
가 필요한 의학적 컨디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경증에서 중등도의 배뇨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디지털 치료는 부작용이 없으면서 기존 치료로는 확인되지 않는 수준의 증상 개선을 보인다.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우리도 가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4.04.06
Midjourney, 과학동아 제공 30000 vs. 52. 완전히 무너진 밸런스는 바로 백상아리와 인간이 평생 사용하는 치아의 개수입니다. 유치 20개, 영구치 32개로 100세 시대를 살아야 하는 인간과 달리 상어는 평균 300개의 이빨을 갖고 있고 이빨이 뽑혀도 계속 다시 나 평생 수만 개의 이빨을 사용합니다. 부럽지 않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