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뉴스
"
양쪽
"(으)로 총 59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과정에서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아 2배체인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면 3배체 또는 4배체(
양쪽
다 이런 경우) 게놈을 지닌 수정란이 생긴다. 이 경우 발생과정에서 동물은 대부분 죽지만 식물은 종종 살아남는다. 2011년 미국 노스텍사스대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의 공동연구자들은 숲딸기의 게놈을 ... ...
[주말 고고학 산책]발 밑에 숨겨진 고대유적, 실체를 파헤치다
2019.03.16
가장 놀라운 유물은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였습니다.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돌의
양쪽
면에 날이 있는 형태로, 그 전 단계인 찍개보다 정교한 석기입니다. 당시까지 주먹도끼는 유럽과 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되다보니 고고학자들은 아시아는 석기를 만드는 기술이 뒤떨어졌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 ...
손쉽게 얇게...온도차로 전기 만드는 ‘열전소재’ 신공정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초박막 열전소재를 만들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일자에 발표됐다. 열전소재는 소재
양쪽
면에 나타나는 온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물질이다. 단순히 물질 자체이 열 차이만으로 전기를 만들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재료의 특성에 전기 발생 효율이 좌우되는 특성이 있다. 주석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쇠똥구리에겐 똥이 복지고, 권리다
2019.02.10
동맹 덕분인지는 몰라도 오늘날 인간은 70억 명으로 늘었고 개는 9억 마리로 늘었습니다.
양쪽
에게 모두 ‘윈윈’이었죠. 그러니 개에게 ‘이제 동맹을 끝맺겠으니 다시 늑대로 돌아가라’라고 하는 것은 이상합니다. 인간과 같이 어울려 사는 것이 개에게는 이미 수만 년 동안 이어온 ‘자연적 ... ...
화웨이도 폴더블폰 24일 공개…5G·폴더블폰 경쟁 격화
2019.02.06
예상된다. 샤오미 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인 린빈 총재는 지난달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양쪽
끝을 잡고 바깥쪽으로 접는 '더블 폴딩' 방식의 폴더블폰을 선보였으나, MWC에서 이 제품이 공개될지는 미지수다. 오포는 10배 광학 줌 카메라를 장착한 스마트폰을 선보인다. [유튜브] 삼성전자는 이에 앞서 ... ...
[주말N수학] 새로운 도형의 등장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수학동아
l
2019.02.02
보였습니다. 뫼비우스 띠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도형입니다. 종이 띠를 비틀어
양쪽
끝을 붙이면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도 마찬가지로 안과 밖의 구별이 없습니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의 활용 분야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독특한 구조로 ... ...
안정성 높고 잘 휘는 니켈 기반 투명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녹슬지 않고 유연한 투명 니켈전극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전극은 전기가 드나드는
양쪽
끝인 +극과 -극을 의미한다. 전극을 통해 빛을 내는 LED와 같은 광전자 소재에 전류가 전달된다. 휘어지고 접히는 차세대 광전자 소자들이 출현하면서 전극도 유연성과 투명성을 필수적으로 갖춰야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날개 없는 비행기 콘테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20
대고 연필로 따라 그린 뒤, 크기에 맞춰 돌기가 나오도록 오린다. ③ ②에서 오린 종이의
양쪽
면에 각각 물병 바닥을 붙인다. ④ 각 물병의 뚫린 부분을 비닐 랩으로 막고 테이프로 고정시킨 뒤, 테이프 아래쪽 랩을 잘라낸다. ⑤ 두꺼운 종이의 튀어나온 부분에 발사대의 고무줄을 걸고 하늘로 ... ...
[애니멀리포트] 반려동물 버리면 야생동물도 위험에 빠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1.19
찾을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이 움직일 때 칩이 이동하지 않도록 움직임이 가장 적은
양쪽
어깨뼈 사이에 칩을 삽입한다. 칩의 표면을 피하조직과 잘 붙게 해 칩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패렐린 코팅’이 되어있다. 큐찬스 길이 약 10㎜의 캡슐 모양인 칩에는 전선이 원기둥 모양으로 감긴 ... ...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
과학동아
l
2019.01.08
보낸다. 연구팀은 이를 이용해 식물이 담긴 화분에 은으로 된 전극과 바퀴를 설치했다.
양쪽
에 조명을 두고 한 쪽에 빛을 비추면, 빛을 감지한 식물의 전기신호가 줄기와 잎에 있는 전극을 따라 증폭되면서 식물 아래의 바퀴로 전송된다. 그러면 바퀴가 빛이 있는 쪽, 즉 생존에 더 적합한 장소로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