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
추세
새짐승
흐름
날짐승
형편
경향
뉴스
"
조류
"(으)로 총 835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구룡포 바다밑 누비며 정밀해도 작성한 극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관찰하고 있지만 정작 바로 옆에 있는 물속은 전혀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사이클롭스는
조류
에 몸을 가누기 힘든 물속에서 전후좌우를 수 mm 단위로 정밀하게 헤엄치며 바닷속 구석구석을 카메라로 촬영한다. 최근 사이클롭스는 인공지능(AI)과 모듈형 로봇과 만나며 점차 극한환경에 적응하고 ... ...
[인간 행동의 진화] 점성술과 인플루엔자
2020.11.22
가축화하면서 인간 집단에 들어온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보인다. 닭이나 오리를 통해서
조류
인플루엔자가 인간의 몸으로 들어온 것이다.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새로운 종, 즉 인간의 몸에 적응하는 과정은 상당한 도전이다. 아마 대개는 실패했을 것이다. 그러나 인구가 늘어나고, 가축도 늘어나고, ... ...
반은 수컷 반은 암컷, 현실판 ‘아수라 백작’
과학동아
l
2020.11.21
나타날 수 있을까. 답은 ‘불가능’이다. 인간의 성별이 결정되는 방식은 곤충이나
조류
와 다르기 때문이다. 2004년 영국 에든버러대 연구팀의 자웅모자이크 닭 연구를 예로 들어보자. 연구팀은 자웅모자이크 닭 세 마리를 분석했다. 이들은 절반은 수컷의 흰 털과 발달한 벼슬을, 절반은 암컷의 갈색 ... ...
[화보]해바라기를 이불 삼은 이구아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많았고 조명도 완벽했고 주변엔 아무도 없었다"며 "발이 물집과 출혈로 가득찼고 강한
조류
와 싸우고 있었지만 바다의 아름다움엔 저항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경화 '당신은 무엇을 보고 있습니까'. 아고라 제공 샛노란 꽃 위에 내려앉아 꿀을 찾고 있는 한국의 벌도 순위권 내에 들었다. 이경화 ... ...
[표지로 읽는 과학] 동물 연구 판도 바꾸는 게놈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0.11.14
전체
조류
과의 92.4%가 이번 연구를 통해 분석됐다. 회색 반호로 표시한 부분(아래)는
조류
중 가장 많은 종(6063종)이 포함된 참새목이다. 이 안에 명금류 등 다양한 종이 포함돼 있다. *표는 닭, **는 핀치새를 표시한 것이다. 네이처 논문 캡쳐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와 하버드대가 설립한 ... ...
공기 중 바이러스 현장서 진단하는 일회용 키트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인자를 현장 진단해 실내 공기 오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응용할 수 있다”며 “과거
조류
독감 감지 키트 기술을 이전한 기업과 코로나19 감지 기술에도 이를 응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 ...
정부·민간 협력하는 새로운 우주 산업 방향 모색하는 자리 마련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우주산업의 지형을 어떻게 변화시킬까’를 주제로 지난 1년 간 뉴 스페이스의 새로운
조류
가 생겨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모델을 살펴본다. ‘상업 우주서비스의 미래’를 주제로 한 미하일 코코리치 모멘투스 최고경영자(CEO)의 기조 연설과 함께 일본의 우주벤처기업가들의 발표가 이어진다. ... ...
[코로나19 연구속보] 네이처 “코로나 백신 접종 위한 면밀한 계획 세워야”
2020.11.11
이같은 상황은 이미 경험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영국 등이 지난 2004년 H5N1
조류
독감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비축하기 위해 경쟁했고 올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마스크나 의료용 보호장비, 방역물품 등에 대한 구매 경쟁이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성공적인 백신 접종을 위한 분석 ... ...
해외 우주벤처기업들의 창업 노하우 직접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우주산업의 지형을 어떻게 변화시킬까’를 주제로 지난 1년 간 뉴 스페이스의 새로운
조류
가 생겨나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모델을 살펴본다. 미하일 코코리치 모멘투스 최고경영자(CEO)가 우선 ‘상업 우주서비스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 연설에 나선다. 코코리치 CEO는 1976년 시베리아에서 태어나 ... ...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20.11.09
교수팀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다양한 노래를 부르는 금화조의 뇌를 관찰했다. 특히
조류
의 뇌에서 인지 및 감각 능력을 담당하는 니도팔리움(nidopallium)에 위치한 HVC(High Vocal Center) 영역에 주목했다. HVC는 노래를 듣고 만들어내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금화조 5마리의 뇌에 여러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