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점
미점
메리트
뉴스
"
좋은점
"(으)로 총 1,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것들은 매우 많겠지만, 가장 기초적이고 원초적인 것들은 수분과 영양분이다. 원시시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은 생존을 위해 체내 적절한 수분량과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물을 마실 수 있거나 먹이가 있는 곳을 탐색 ... ...
[씨즈더퓨쳐] 누리호 3차발사 콕 집어 ‘저녁 6시 24분’에 쏘는 이유
2023.05.21
씨즈 유튜브 영상 5월 24일 저녁 6시 24분. 최초의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가 이뤄질 시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월 11일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2023년 5월 24일(수)을 발사 예정일로, 18시 24분(±30분)을 발사 예정 시각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기상 상황에 따라 날짜는 5월 25일 ... ...
[주말N수학] 오스카 수상을 수학 모형으로 예측한 야구 분석가
수학동아
l
2023.05.06
오스카 시상식 레드카펫이 아니라 메이크업 및 헤어 스타일리스트 시상식 레드카펫에서 찍은 사진이다. 오스카 시상식은 매년 집에서 TV로 시청한다고 한다.벤 자우즈머 제공 ○ 오스카 수상 예측 비결 “The Oscar goes to Yuh-Jung Yoon!(오스카 수상자는 윤여정입니다!)” 2021년 4월 25일 세계적인 영화 ... ...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9) 역대 최강 로켓 잡는 스페이스X '메카질라' 만들 韓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23.04.28
초대형 우주발사대 ‘메카질라’. 스페이스X 트위터 캡쳐 올 1월 미국 텍사스주 보카치카 해변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앞발을 닮은 거대 로봇팔이 움직였다. 50m 길이 폭 9m의 차세대 유인 우주선 ‘스타십’의 몸통을 잡아 훌쩍 들어 올렸다. 스타십이 높이 142m의 허공에 뜨자 팔이 회전했다. 길이 69m,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개의 머리를 다른 개에 이식하다
2023.04.2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인간복제보다 더 엽기적인 머리이식의 선구자 1997년 2월 복제양 돌리가 태어나서 7개월째 잘 자라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많은 사람들이 충격에 휩싸였다. 복제에 의해 동물이 태어난다면 사람도 복제가 가능할 것이고, 복제된 사람들이 내 주변에 돌아다닐 수 있다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안좋은 일 곱씹기보다 주위에 감사하기
2023.04.2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좋지 않은 일이 있었을 때, 그 일을 통해서 느낀 기분을 계속해서 떠올리면서 끊임없이 재생 버튼을 눌렀던 적이 있다면 이런 곱씹기(rumination)가 가진 부작용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우선 나쁜 일이 지나가도 계속해서 기분이 나쁘다. 또한 생각하면 할수록 원래보다 기분이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근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라는 뉴스를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이러한 소식은 단순히 꿀벌이 우리에게 선사하는 달콤한 꿀을 더 이상 먹지 못할 수도 있다는 의미를 넘어 인류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다. 꿀벌은 꽃샘식물(밀원식물)로부터 먹이자원인 꽃가루와 꽃꿀을 얻 ... ...
"한국 연구자들, 과대포장·허황 없어...논문 투고 늘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의 수잔 존스 편집장은 13일 제주에서 열린 한국생물공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기조강연이 끝난 후 가진 인터뷰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주=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한국 연구자들은 타 국가 연구자 대비 논문 제출 때 연구를 과대포장하거나 허황된 얘기를 덜 합 ... ...
[주말N수학] 수학자가 사람 살리는 '수리생물학'에 빠진 사연
수학동아
l
2023.04.08
김재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의생명수학그룹 CI & KAIST 교수 ○ 한 편의 기사가 수리생물학자로 안내 공군과학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던 때의 김 교수(오른쪽에서 2번째). 김재경 제공 Q. 수학교육을 전공했는데, 수리생물학자가 된 계기가 뭔가요. "대학 졸업 후에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
[박정연의 닥터스] 생체신호 데이터로 수술만큼 중요한 '환자안전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김성훈 서울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최근 서울아산병원에서 기자와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한 해 200만건의 수술이 이뤄진다. 의료 인프라가 발달한 만큼 시행되는 수술 건수가 적지 않다. 수술 건수가 늘어나면 수술 중 의료진의 과실이나 장비 문제로 인한 안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