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리학
지세
지형
풍수지리
천문박사
박사
천문
뉴스
"
지리
"(으)로 총 4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곤충의 겨울나기…한겨울에 살아남지 못하면 다 죽는다
2018.12.27
겨울을 난 뒤 이듬해 봄, 길을 되짚어 유럽에서 봄을 맞는 주기적 이동이 확인되었다.
지리
적 특성과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이 제 각각이라 같은 종이라 해도 지역에 따라 생활사가 다를 수 있는데 한반도에 서식하는 작은멋쟁이나비는 같은 속(屬)에 속하지만 이동을 하지 않고 추위를 기꺼이 ... ...
"인기 절정 화산관광, 유독가스 마시고 민폐일 뿐" 英왕립
지리
학회 보고서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보고했다. 영국 왕립
지리
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지리
학회 중 하나다. 화산관광은 관광객이 눈으로 보고 듣고 실제 뜨거운 열기를 느끼기 위해 용암과 화산재를 분출하는 활화산 근처에서 이뤄진다. 매년 전지구적으로 평균 60개의 화산들이 폭발한다. 미국 ... ...
도심 고층건물벽 숲으로 바꿔 미세먼지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217종의 데이터를 모은 뒤 기상 정보를 결합시켰다. 그 뒤 도시를 620개 영역으로 나누고
지리
정보를 결합해 지역별로 미세먼지 농도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했다. 연구 결과 아직은 불완전하지만 예측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연구 결과는 현재 데이터 분야 학술지 ‘데이터 인 브리프’에 ... ...
"SF를 키우는 힘은 다양성"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한국계 작가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유혹하는 동양 구미호의 이미지를 떠올리며 썼다. 작품 속 전쟁에서 군대의 진법은 풍수
지리
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는 “한국 문화는 한국에서 보낸 어린시절을 연상하게 한다”며 “나는 한국 민담을 좋아하고 임진왜란에 대한 글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2016년 발간한 장편 데뷔작 ‘구미호 ... ...
"나라면 샤워 안한다" 샤워기 헤드에 박테리아 득실
과학동아
l
2018.12.05
유럽보다는 미국에서 마이코박테리아가 더 많이 발견됐다. 게버트 연구원은 “
지리
적 요건, 소독제, 배관 등 많은 부분이 박테리아 생성에 관여한다”며 “정확한 원인을 분석해 이를 토대로 관리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8 / mBio.01614-18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큰 거대 운석 충돌 흔적이 발견됐다. 쿠르트 크재르 덴마크 코펜하겐대 자연사박물관
지리
유전학센터 교수 연구진은 그린란드 북부의 빙하층에서 지름 1.5㎞ 규모의 소행성에 가까운 운석이 부딪혀 생긴 거대 충돌구를 확인했다고 지난 11월 14일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 ...
올바른 소프트웨어 발주문화 정착 기여한 4인 과기부 장관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사업의 수·발주자 상생 협력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발주기관 입장에서도
지리
적인 제약을 넘어 우수한 소프트웨어 기업과 사업을 수행하면서 불필요한 행정 절차는 줄이고 소프트웨어 사업 품질 만족도는 높아지는 등 사업관리 효율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노경원 소프트웨어정책관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매번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당신은 '마이너리티'
2018.11.25
독일의 학자 엘칸 괴렌의 연구에 의하면, 도파민 수용체 다형성은 동아프리카에서의
지리
적 거리, 위도, 고도와 모두 관련이 있었습니다. 또한 토양이 농사 혹은 목축에 적합한지 여부 및 토양의 전반적인 비옥함 등과도 관련이 있었죠. 정치 제도나 사회적 문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입니다. ... ...
그린란드 빙하에서 소행성 충돌 흔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큰 거대 운석 충돌 흔적이 발견됐다. 쿠르트 크재르 덴마크 코펜하겐대 자연사박물관
지리
유전학센터 교수 연구진은 그린란드 북부의 빙하층에서 지름 1.5㎞ 규모의 소행성에 가까운 운석이 부딪혀 생긴 거대 충돌구를 확인했다고 14일(현지 시간)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신생아 건강을 지키는 장내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0.28
일시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또 형제자매나 애완견의 유무, 생활권의
지리
적 위치에 따라서도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성분이 달라졌다. 연구진은 또 다른 논문에서 신생아 783명에서 얻은 1만1000개의 마이크로바이옴 게놈 해독 데이터를 분석했다. 당뇨병을 앓지 않는 신생아의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