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감탄
감탄사
유연
회복력
탄성고무
고무
뉴스
"
탄성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우리 서로 조.용.히. 살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6
대한 대책도 구조별로 나눠 수립할 수 있습니다. 카페트나 장판지처럼 부드럽고
탄성
이 낮은 바닥 마감재를 사용하면 바닥으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흡수해 소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작은 충격음에는 효과적이지만 큰 충격음에는 그다지 효과가 없습니다. 뜬바닥 공법은 바닥 슬래브나 벽의 ... ...
[해외 풍경] 빨갛고 노란 캐나다의 하늘
팝뉴스
l
2017.03.15
수면과 어두운 숲 그리고 붉고 노란 하늘은 조화를 이루며 아름다움을 뽐낸다. 짧은
탄성
을 자아내는 힘을 가진 사진이라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H의 맥주생활 (25)] 봄맞이 모임에 어울리는 맥주들
2017.03.10
스타일: 플란더스 레드에일 잔에 따르고 향을 맡자마자 “이게 맥주야 와인이야?!”하는
탄성
이 절로 나온다. 두체스 드 부르고뉴(Duchesse de Bourgogne)는 벨기에 플란더스 지방에서 유래한 신맛이 나는 맥주다. ‘와인 맥주’의 대표적인 예로 잘 알려져 있다. 어두운 루비 색을 띠고 시큼한 포도향과 ... ...
인공 신경망으로 항공기 내부 손상 감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강도가 높아 항공기나 발사체, 자동차, 선박 등의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탄성
이 있어 충격을 받아도 대부분 내부에만 손상이 생겨 손상 부위를 정밀하게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는 자칫 폭발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 복합재료가 제한적으로 쓰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광섬유 감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서로 달라붙어 엄청난 힘에도 떨어지지 않게 해야 하므로 섬유가 나란히 배열된 구조(점
탄성
에 최적화) 대신 그물망 구조를 이뤄야 한다. 실제 유형2 콜라겐은 관절연골의 주성분으로 그물망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단백당은 큰 힘을 받는 조직에 많이 존재해 완충 역할을 한다. 표면이 음전하이기 ... ...
골퍼들 깜짝, 악어가 물고기 물고 어슬렁
팝뉴스
l
2017.03.07
놀라서 골프채를 던지고 대신 스마트폰을 꺼내들어 녹화를 시작했다. 여기저기서
탄성
이 터져 나왔다. 재미있는 것은 악어는 전혀 신경 쓰지 않았다는 점. 인간들이 어떻게 반응하건 개의치 않았다. 일용할 양식을 얻은 악어는 행복한 걸음을 걷는 것 같다고 해외 네티즌들은 말한다. ※ ... ...
이빨을 흉내낸 튼튼한 나노구조체를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치아가 손상되지 않은 이유는 치아의 기계적 물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기계적 물성은
탄성
(강성도)와 진동에 버티는 정도(감쇠계수)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조합수치를 이용한다. 치아의 조합수치는 공업용 소재보다 우수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연구진이 개발한 나노복합체의 구조. 산화아연 ... ...
[카드뉴스] 세계의 면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23
라면 꼬불꼬불한 라면은 젓가락으로 들어올리기 쉽고 양에 비해 부피가 적으며 면의
탄성
력이 좋습니다. 또 끓일 때 면을 자연스럽게 한 가닥씩 떼어 놓아 열과 수분이 쉽게 침투하도록 합니다. 특히 인스턴트 라면은 기름에 튀길 때 수분이 빠져나가 수많은 구멍이 생기는데, 이곳으로 뜨거운 ... ...
용감하고 씩씩한 우리의 친구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15
우뚝 서 있었어요. “이렇게 큰 로봇은 태어나서 처음 봐요!” 기자단 친구들이
탄성
을 질렀어요. ‘마스터 태권브이’는 13m의 크기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로봇 모형이랍니다. ‘로봇팩토리’에서는 김청기 감독님이 직접 들려 주시는 태권브이 이야기를 3차원 입체 영상인 홀로그램으로 감상할 ... ...
알츠하이머병 등 뇌질환, 실험실서 손쉽게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3
돼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고무처럼
탄성
이 있는 틀(기판)을 사용해 뉴런의 배열 방향을 정렬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먼저 뉴런을 젤리 같은 콜라겐에 섞어 실리콘 수지의 일종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만든 틀에 붓는다. 양쪽에서 가운데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