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감탄
감탄사
유연
회복력
탄성고무
고무
뉴스
"
탄성
"(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세계의 면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23
라면 꼬불꼬불한 라면은 젓가락으로 들어올리기 쉽고 양에 비해 부피가 적으며 면의
탄성
력이 좋습니다. 또 끓일 때 면을 자연스럽게 한 가닥씩 떼어 놓아 열과 수분이 쉽게 침투하도록 합니다. 특히 인스턴트 라면은 기름에 튀길 때 수분이 빠져나가 수많은 구멍이 생기는데, 이곳으로 뜨거운 ... ...
용감하고 씩씩한 우리의 친구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15
우뚝 서 있었어요. “이렇게 큰 로봇은 태어나서 처음 봐요!” 기자단 친구들이
탄성
을 질렀어요. ‘마스터 태권브이’는 13m의 크기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로봇 모형이랍니다. ‘로봇팩토리’에서는 김청기 감독님이 직접 들려 주시는 태권브이 이야기를 3차원 입체 영상인 홀로그램으로 감상할 ... ...
알츠하이머병 등 뇌질환, 실험실서 손쉽게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3
돼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고무처럼
탄성
이 있는 틀(기판)을 사용해 뉴런의 배열 방향을 정렬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먼저 뉴런을 젤리 같은 콜라겐에 섞어 실리콘 수지의 일종인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만든 틀에 붓는다. 양쪽에서 가운데 ... ...
경주지진, ‘양산단층’ 때문아니다 …동남권 지역, 또 다른 지진 대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7.01.24
많아 또 다른 지진이 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면서 “동남권 일대에 대한 지질조사,
탄성
파 탐사 심도 확대 등 지속적인 지진·단층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진이 발생하고 대비하면 이미 늦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지진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는, 경주를 포함한 동남권 ... ...
하늘에 뜬 신기루 도시 나타나
팝뉴스
l
2017.01.20
제공 하늘에 도시가 떠 있었다. 시민들이 놀란 것은 당연. 떠들썩하게 이야기를 주고받고
탄성
도 지르면서 영상을 촬영했다. 화제의 영상은 중국 후난성 웨양에서 촬영된 것이다. 촬영 일자는 1월 15일. 허공에 도시가 나타났다. 영상은 조작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하늘 도시가 존재할 ... ...
캘리포니아 대학, 방울뱀 공격 순간 촬영해
팝뉴스
l
2017.01.16
에너지 저장고’를 이용해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설명합니다. 뒤쪽 다리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
에너지가 죽을 위기가 닥치니 폭발한 것이라는 말입니다. 히그햄 교수는 새총에 비유해서 설명합니다. 천천히 당겼다가 높으면 아주 빠르게 물체를 날리는 새총이 캥거루 쥐의 반응 방식과 비슷하다는 ... ...
비누로, 종이로 만든 반도체도 등장… ‘특수 반도체’ 개발 열풍
동아사이언스
l
2017.01.11
최대 2배까지 길이를 늘여도 성능이 유지된다. 초박막트랜지스터(TFT) 종류의 반도체를
탄성
이 있는 고분자 필름 내부에 집어넣어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 반도체를 몸에 붙이는 의료용 측정장비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2일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같은 무게의 강철보다 인장강도(양쪽에서 당길 때 버티는 힘)가 300배나 되고
탄성
도 훨씬 커 길이방향으로 16%까지 늘어날 수 있다. 전기는 구리보다도 잘 통하고 열도 빨리 분산시킨다. 따라서 요즘 고가제품에는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소재가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 ...
피부처럼 유연한 박막트랜지스터(TFT)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반도체성 유기소재(DPPT-TT)로 만든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가느다란 회로를
탄성
이 있는 고분자 필름 내부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소프트 TFT를 만들었다. 이전에도 신축성 TFT가 개발된 적은 있었지만 형태가 바뀌어도 높은 전기전도성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
2016.12.16
이동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모형을 개발했다. 이에 따르면 작은 동물은 힘줄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방출해 점프를 하는 반면 사람과 큰 동물은 근육을 써서 뛰어오른다. 1976년에는 발자국 화석을 분석해 공룡의 이동속도를 추측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그가 만든 수식에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