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 쌍"(으)로 총 4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실렸다. 3년 전에는 비정규 염기쌍을 포함한 플라스미스를 복제하는 ... 숙명으로 받아들였던 두 가지 염기쌍이라는 한계를 넘어 세 가지 염기쌍으로 살아가는 생명체가 탄생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 놀라운 대장균에 겸손하게도 ‘반합성생명체(semi-synthetic organism, 약자로 SSO)’라는 이름을 ... ...
-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11.30
- 눕고 “걸어 가” 하면 걷기 시작하는, 말 한 마디로 조종이 가능한 로봇의 탄생이 멀지 ... 배우는 원리다. 연구팀은 유튜브 영상에서 2만9770쌍의 언어와 행동 데이터를 추출해 텍스트투액션 ... 알고리즘을 보유해 말 데이터와 거의 비슷한 행동 데이터를 만들어 냈다. 또 이전에 학습하지 않은 말 ... ...
- 왼손잡이의 비밀, 아프리카 물고기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29
- 시클리스가 표적물고기의 비늘을 뜻는 과정을 한 마리당 최소 4시간씩 추적해 오른쪽과 왼쪽을 ... 때문에 오른쪽 시개시신경이 더 큰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와 달리 유전자 ...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뇌 속 좌우 쌍으로 존재하는 시개시신경 중 하나가 행동특성을 ... ...
- 상상 속 용, 이렇게 날았다...나는 법 스스로 학습하는 AI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11.27
- 것처럼 생생하게 날아다닌다. 박쥐나 거대한 새 같은 동물의 움직임을 그대로 모사했기 ... 모습 - 서울대 제공 연구팀은 날개 숫자가 한 쌍인 비행체는 물론, 민들레 씨앗처럼 날개를 가진 비행체나, 용처럼 긴 몸뚱이에 날개를 가진 비행체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비행 방법을 학습하도록 했다 ... ...
- [과학&기술의 최전선]“3,4년 뒤 100달러로 내 모든 DNA 한눈에 본다“동아사이언스 l2017.11.10
- 서열 해독(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장비를 제작한다. 2014년에 2주 만에 유전체 서열 해독을 할 수 ... 게놈 프로젝트는 아직 발병하지 않은 질병에 대한 대비를 가능하게 했다. 이른바 정밀의학이다. 30억 쌍의 염기 배열에서 유전자를 찾아냈고, 정상 유전자와 변이 유전자를 구분할 수 있는 자료를 ...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마흔살 게놈 해독 기술의 숨가쁜 진화 동아사이언스 l2017.11.10
- 이런 공사를 강에서 동시에 무수히 많이 진행한다. 페인트 벽돌을 언제 만나느냐에 따라 강에는 ... 여기에서 두 번째 혁신이 일어났다. 30억 쌍에 이르는 게놈을 한 번에 읽어낼 수는 없어서, 여러 사람의 혈액세포에서 얻은 DNA를 잘게 잘라 부분적으로 해독한 뒤 다시 합쳐 한 명 분량을 만들었다. ... ...
- 씨없는 굴이 더 크고 맛있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10.27
- 생식 능력을 없애 자손 번식에 필요한 에너지를 몸집을 불리는 데 쓰도록 개량됐다. 보통 생물은 염색체 한 쌍(2배체)을 갖고 있는데 3배체 굴은 염색체가 1.5쌍이다. 염색체 이상으로 생식세포를 만들 수 없는 대신 몸집을 더 불린다. 일반 굴보다 성장 속도가 15~20%나 빨라 양식장에서 더 큰 굴로 ... ...
- 던지고 보는 댓글 시대, 우리는 어떻게 남을 비난할지 결정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10.18
- 하는 사람까지 '비난'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이런 심리는 왜 생겨날까. ● ... 사람인지 여부에 따라 판단을 다르게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155쌍의 친구를 모은 뒤, 농담을 던지거나 노래를 부르는 등 역할극을 시켰다. 그 뒤 각자가 경험한 타인의 행동에 대해 어떻게 ...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발 후 5년… ‘염기’ 단위로 유전자 교정하고 ‘유전자교정 식물’ 먹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10.08
- 교수가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기술에 대해 ... T), 시토신(C), 구아닌(G) 등 4개의 염기가 서로 쌍을 이루며 나열된 염기서열로 이뤄져 있다. 나란히 위치한 염기 3개가 1개의 유전자를 구성하는데, 이들 염기 중 하나만 잘못돼도 심각한 유전질환을 앓을 수 ... ...
-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2017.10.04
- 스케이터가 회전을 할 때나 블랙홀 한 쌍이 서로의 주변을 돌 때처럼 질량이 ... 이용해 질량이 매우 높은 한 쌍의 별 ‘더블 펄서’를 관측한 것이다. 이들은 두 별이 속도를 높이며 서로의 주변을 돌면서 에너지를 잃고 점점 가까워진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 잃은 에너지의 양은 중력파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