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행
범주
여행
항공
항해천문학
천문학
해항
뉴스
"
항해
"(으)로 총 30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북아 초미세먼지는 주요 성분은 ‘블랙카본’
2015.10.26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진은 2013년 9월 7일~10월 13일 1만2000km를
항해
하며 바다 위의 초미세먼지를 측정하고 이들의 혼합 상태와 흡습성 등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한반도 동해와 오호츠크해에서 육지와 가까워질수록 블랙카본의 농도가 1㎥당 최대 1000ng(나노그램)까지 올라가는 ... ...
뇌의 비밀을 푸는 거의 모든 방법
2015.10.18
표지엔 ‘어둠의 천체’로 불리는 명왕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9년 6개월 간의
항해
끝에 명왕성과 1만2500km 떨어진 최근접점을 통과한 ‘뉴호라이즌스호’가 7월 14일 보내온 영상과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가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여기에는 메탄과 질소 안개로 뒤덮였던 명왕성의 ‘맨 ... ...
‘쥬라기월드’ 최강 공룡과 ‘맞짱’ 뜬 안킬로사우르스, 비밀 병기는?
2015.08.31
'쥬라기월드'에서 안킬로사우르스는 꼬리 끝의 뼈뭉치로 육식공룡과 대
항해
싸운다. - 영화인 제공 영화 ‘쥬라기월드’에는 초식공룡인 안킬로사우르스가 벨로시랩터와 티라노사우르스 렉스 등의 유전자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룡인 ‘인도미누스 렉스’와 맞서 싸우는 장면이 나온다. ... ...
과학 소재로 전 세계 오지 탐험하는 괴짜 예술가
2015.08.21
마라도와 백령도, 가거초 해양기지를 차례로 답사한 경험을 살려 만든 작품 ‘고요한
항해
; 일렁이다’를 경기도미술관에 전시하기도 했다. 그는 수많은 작품 주제 중 왜 복잡하고 어려운 ‘과학’을 테마로 삼느냐는 질문에 “지구 곳곳을 표현하고 싶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사람이 살아가는 ... ...
심해 지질 전문가의 ‘마지막 논문’
2015.07.24
그는 연구에 대한 열정 하나로 이듬해 7월 지큐호에 승선했다. 당시 나이 60세. 이후
항해
과정에서 얻은 데이터를 정리해 논문을 작성했다. 이 논문이 24일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박 연구원은 자신의 마지막 논문 게재 사실을 보지 못한 채 지난해 위암으로 유명을 ... ...
지구 떠난지 10년, 드디어 명왕성이 눈 앞
2015.06.12
이 밖에 뉴호라이즌은 명왕성 주변의 태양풍을 감지할 수 있는 ‘스와프(SWAP)’와
항해
중 우주선에 부딪히는 우주먼지를 관측할 수 있는 ‘SDC’도 싣고 있다. 이들 장비를 모두 실은 뉴호라이즌의 무게는 478kg 정도다. 현재 NASA는 홈페이지를 통해 들뜬 분위기를 감추지 않고 있다. 2월에는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연간 998억 여 원의 경제적 가치도 창출한다(산림청). 소나무의 절개와 강인함은 외침에 대
항해
떳떳한 기상을 이어 온 우리 민족을 상징한다. 천 년의 푸르름을 간직한 소나무, 과연 올해는 되찾을 수 있을까.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4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600여 개가 연결돼 LBTS의 한 구석을 가득 메웠다. 임 박사는 “한 번 충전으로 수만 km를
항해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잠수함이 아닌 일반 선박도 최근엔 전기추진방식을 선호한다. 에너지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기존의 디젤엔진이나 가스터빈 엔진 방식이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힘을 낼 수 있다면, ... ...
해부학, 이제 스마트폰으로 공부하세요~
2015.03.22
점이 이 책의 매력이다. 아홀로틀이 서식하는 멕시코 고지대를 둘러보며 저자는 대
항해
시대 유럽의 정복자들에게 짓밟힌 원주민을 떠올린다. 또 털북숭이 집게발을 가진 ‘예티게’를 살피며 저자는 로봇을 떠올리고 현대 로봇을 어떻게 봐야 할지 질문을 던진다. 사이언스북스 제공 ... ...
한 달 만에 2290km 이동하는 바다거북의 비밀
2015.03.16
바다거북이 32일 동안 헤엄친 거리는 최소1105km에서 최대 2290km에 달했다. 바다거북의
항해
에서 더욱 주목할 점은 이들이 정확한 경로를 찾아 빠르게 이동한다는 점이다. 연구를 진행한 카라 더지 박사는 “바다를 헤엄치던 바다거북은 알을 낳기 위해 특정 해변을 다시 찾는다”며 “몇 년이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