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스페셜
"
둘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C를 T로 바꾸지 못하게 유전자를 반으로 쪼개 각각 반쪽의 단백질을 만들게 했다. 이
둘
이 미토콘드리아의 DNA 가닥 주위에서 하나로 합쳐질 때만 효소로 작용해 C를 T로 바꿀 수 있다. 다음으로 2세대 기술에서는 게놈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달라붙기만 하는 TALE를 두 개 만들어 각각에 DddA ... ...
소아감염학회장 "코로나19 확진자 격리해제 기준 완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시행한 중합효소연쇄반응(PCR)검사에서 24시간 간격 연속 2회 음성이면 격리 해제된다.
둘
중 한 가지 기준을 충족하면 된다. 유증상자의 격리해제 기준은 더 까다롭다. 발병 후 10일이 경과하고 최소 72시간 동안 해열제 복용 없이 발열이 없고 임상증상이 호전되는 추세일 경우 격리에서 해제한다 ... ...
서울 을지로-청계천 제조업의 새로운 시도를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생태계를 이루며 수십 년째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이곳은 재개발 압박에 하나
둘
자리를 비우고 있다. 일부는 이미 진행된 재개발에 다른 곳으로 자리를 옮겼고, 곧 자리를 옮길 기업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으로 글로벌 원자재 공급에 제약이 ... ...
가장 앞선 코로나19 英·中 백신 후보 2상까지 안전성·항체 형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결과가 정식 논문으로 발표됐다. 영국과 중국이 각각 주도해 개발중인 백신으로,
둘
다 인체 내에 항체를 형성하는 능력이 확인됐다. 큰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아 각각 수천 명이 참여하는 임상 3상을 통해 정확한 예방 효과를 확인할 예정이다. ●전통 강자 옥스퍼드대 제너연구소팀, '전달체' 이용 ... ...
"우주 나이는 137억7천만년±4천만년"…허블상수 논쟁 해결 난망
연합뉴스
l
2020.07.17
차이를 더 고착화하는 결과가 됐다. 이는 두 방식 중 어느 한쪽이나 양쪽 모두 틀렸거나
둘
다 놓치고 있는 새로운 물리학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다. [ESA and the Planck Collaboratio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프린스턴대학 이론물리학자 폴 스타인하트 박사는 ACT와 플랑크 위성 자료로 도출한 ... ...
옥스퍼드 코로나19 백신 순항…"항체+T세포 이중방어막 형성"
연합뉴스
l
2020.07.17
년간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익명의 취재원은 텔레그래프에 "매우 조짐이 좋다"면서 "
둘
(항체와 T세포)의 조합이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취재원은 "현재까지는 매우 좋지만 지금이 중요한 순간"이라며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덧붙였다. 옥스퍼드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늦여름은 고온에 다습이 더해진다. 장마가 시작될 무렵이 하지라는 점도 여름을
둘
로 나누는 그럴듯한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음양 이론에 따르면 낮이 가장 긴 하지 이전의 초여름이 양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시기다. 낮이 밤보다 꽤 긴데다(양) 매일 조금씩 더 길어지기(미분 값도 양) ... ...
[프리미엄 리포트]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07.11
수 있다. 하지만 세균은 세포로 이뤄져 있는 반면,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을 단백질이
둘
러싼 단순한 구조라는 점부터 다르다. 혼선의 주범인 박테리아(bacteria)는 세균을 영어로 표기한 것이다. 바이러스(virus)와는 알파벳 첫 글자부터 다르다. 결국 이들의 관계를 종합하면 ‘바이러스≠세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것은 이때가 처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빛은 전기장과 자기장의 파동이다. 이
둘
은 서로 수직인 상태로 서로가 서로를 유도해 가며 각자의 파동을 이루면서 같은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것이 전자기파이다. 그 중에서 특별한 파장대의 전자기파가 우리가 흔히 부르는 가시광선으로서의 빛이다. ... ...
코로나19 변이로 전파력 정말 높아졌나…전문가들 "감염력 높아져도 사람간 전파력 증가는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초기에 D 유형만 보고됐지만, 이태원 사태 등에서 G 유형이 보고되기 시작해 지금은
둘
다 존재한다. 현재 대부분의 대륙에서 G614 유형이 더 많지만, 단지 바이러스 유행이 많다고 해서 감염력이 강하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위). 가운데는 약 3만 개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게놈 지도다. 지도 위 삐죽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