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스페셜
"
미생물
"(으)로 총 510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고대의료원, 마다가스카르에 가상해부 시뮬레이터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
과 생태계의 합성어로
미생물
생태계를 의미한다. 서비스는 개인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생태계를 균형있게 바꿔 개인의 건강 관리를 돕는다. ■서울성모병원은 심뇌혈관병원 타비팀이 합병증을 최소화 하고 조기 퇴원과 조기 일상행활 ... ...
[팩트체크]얼음 소비 늘고 에어컨 많이 쓰는데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교수는 “물 속 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전파될 때까지 그렇게 오래 생존할 수 없다”며 “
미생물
을 억제하는 염소를 투입하는 수돗물의 경우, 바이러스는 대부분 제거되거나 불활성화된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바이러스는 온도와 습도에 약해 물에서 오래 생존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
미생물
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대식세포(Mϕ)를 자극해 염증반응을 유발한다. 다음은 간접 경로(indirect pathway)로, 구강
미생물
에 반응하는 면역세포(Th17)가 림프관을 따라 장으로 이동해(gut homing) 이곳에 정착한 구강
미생물
을 발견하고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그 결과 대장의 염증이 심해진다. 셀 제공 치주염은
미생물
과 면역계 활동의 ... ...
코로나19 중증에 효과 ‘덱사메타손’ 뜨자마자 공급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멸균 상태에서 제조하지 않으면 다른
미생물
침입으로 인해 약물 효과가 떨어지거나
미생물
에 의한 오염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인도의 워크하트가 제조량을 늘릴 수 있다고 밝혔지만 일각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공급량을 늘리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무균 정맥 주사용 덱사메타손을 ... ...
'천랩' 감염 10분만에 확인하는 코로나19 신속 진단키트 출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제공 마이크로바이옴(체내
미생물
) 빅데이터 기술 기업 ‘천랩’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신속 항체 진단키트를 출시했다. 19일 천랩에 따르면, 체외진단의료기기 전문기업과 공동으로 진단키트 ‘EZ Speed COVID-19 igi/IgM’를 개발해 유럽 연합 제조 및 수출을 위한 인증인 ... ...
[팩트체크]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0.06.13
있으면 이런 생물 공극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고 분석했습니다. 안 교수는 “
미생물
과 작은 동물에게 미세플라스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 중”이라며 “궁극적으로는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습니다. 김 교수는 “체내에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된다. 살균과 소독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세상의 모든
미생물
을 죽여 없애겠다는 비현실적인 환상은 버려야 한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코로나19 사태는 끝 아닌 시작… 英 연구진 ‘패턴 예측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감염시키는 생물종의 수와 유형, 감염의 흔적 등을 식별한다. 이를 통해 어떤 바이러스나
미생물
이 가까운 미래에 인간에게 가장 위협이 될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인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병원체가 우선순위로 표시되면 과학자들은 질병이 퍼지기 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나 치료법을 찾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 튕겨내는 '초소수성' 유지하며 강성도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6
초소수성은 물에 젖지 않는 성질이다. 표면을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미생물
이 붙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생물공학이나 제약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초소수성은 미세한 돌기 구조 덕분에 형성된다. 수 나노미터(nm·10억분의 1m)에서 100nm 범위의 돌기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많이 사는 장유형1과 프레보텔라속
미생물
이 가장 많이 사는 장유형2, 루미노코쿠스속이
미생물
이 가장 많은 장유형3이다. 지난 2017년 벨기에 루뱅대 연구자들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장유형을 네 가지로 나눠야 한다고 주장하며 새로 이름을 붙였다. 기존 장유형1을 박테로이데스1형과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