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움
조력
협조
원조
조교
페이스
지원
스페셜
"
보조
"(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이미 건강
보조
식품에 쓰이고 있어 필자는 수년 전부터 해외직구 사이트에서 건강
보조
식품(영양제)을 가끔 주문하는데 너무 종류가 많아 처음엔 좀 놀랐다. 비타민과 미네랄, 오메가3 만 파는 게 아니라, 논문에 나오는 물질로 시약으로나 구할 수 있을 것 같은 것들도 꽤 있기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보조
식품으로 등장하지 않을까. 식품첨가물로 널리 쓰이는 숙신산... 다이어트
보조
식품으로 등장할까? 그러나 지금까지 무수히 경험했듯이 동물실험 결과가 사람에서도 그대로 재현될 거라고 낙관해서는 안 된다. 미국 프린스턴대의 셴 후이와 조수아 라비노비츠는 ‘네이처’ 같은 호에 실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2017.12.27
시각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고 한다. 그러다보니 눈에 좋다는 건강
보조
식품이 인기인데 대표적인 예가 루테인과 오메가3 세트다. 사실 필자도 수년 사이 눈 건강이 부쩍 나빠져 루테인과 오메가3에 루테인보다 더 좋다는 아스타잔틴까지 챙겨먹고 있다. 이 가운데 오메가3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각종 생리지표도 한계, 즉 생물적 상한선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아무리 잘 먹고 건강
보조
식품을 챙기고 적절한 운동을 해도 인류 진화의 결과로 한계 지워진 생물적 상한선을 넘을 수는 없다는 말이다. 즉 현재 수준에서 완벽한 관리를 받더라도 호모사피엔스는 20대를 정점으로 생리적 지표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뉴런(신경세포)의 비율이 높다는 뜻밖의 사실이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교세포는 뉴런을
보조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 결과를 계기로 신경과학자들은 교세포에 주목하게 됐고 지금은 뇌에서 뉴런만큼이나 중요한 세포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살아서는 머리(뇌)를 써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
2017.05.07
할아버지가 정말 많습니다. 보통 가정에서도 할머니는 다양한 방식으로 손주 양육을
보조
하고 있죠. 부모 은혜에 버금가는 수준입니다. 앞서 말한 O씨의 유년기는 누가 봐도 불행해 보였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편견’과는 달리, O씨는 조부모의 품에서 아주 건강하고 명랑하게 성장했습니다. ... ...
올해도 내년에도 목표는 금연
2016.12.21
인지하고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흡연량을 줄일 수 있다. 금연 클리닉, 약물 등
보조
요법과 함께 주변인의 격려 메시지도 금연에 도움 혼자만의 노력으로 어려울 때는 금연클리닉을 찾아 상담을 받거나 약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금연을 돕는 약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약은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교세포(glia cell)다. 그럼에도 교세포는 뉴런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흡수하는
보조
자로 여겨져 주목받지 못했다. 그런데 교세포가 이런 역할뿐 아니라 뉴런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신호전달 속도와 안정성에도 관여하는 등 신경계에서 중요한 존재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교세포는 형태와 ... ...
사회초년생의 재테크는 따로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기간은 10년 가까이 된다. 20대는 노후대비도 중요하지만, 실제 지출하는 병원비 일부를
보조
하는 의료실비를 포함한 건강보험과 운전을 할 경우 운전자보험 가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보험료는 월 10만 원 내외가 적정수준이다. 30대는 사망보장에 대한 준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 ... ...
유전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8.21
질환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다뤘다. 연구진은 이 질환들이 생길 때 신경세포를
보조
하는 ‘신경교세포’에서 몇 가지 유전자와 단백질이 덜 발현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마지막 논문은 뇌가 충격을 받아 기능이 일시적으로 멈춘 ‘외상성 뇌 손상(TMI)’ 상태일 때 면역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