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상관"(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클 때는 남성이 우울증에 걸릴 위험성과 조현병 위험성이 올라가는 등 정신질환과도 상관관계가 있다. 손가락 비율이 작을 때는 또 그 사람의 공격성이 높고 반면 클 때는 성격이 개방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도 있다. 심지어 손가락 비율이 크면 미신을 믿는 성향이 강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2019.06.08
- 나를 굳이 ‘탓’할 필요가 있는 불행은 많지 않다. 좋은 일은 우연이라고 생각하고 나와 상관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면서 나쁜 일은 다 내 탓이라고 생각하는 건 어딘가 논리적이지 않은 것 같다. 좋은 일이나 나쁜 일이 마치 자연재해처럼 갑자기 생기는 일이라면, 돌을 맞을 때는 고통스럽더라도 ... ...
- 게임몰입 청소년 10명中 6명 스스로 정상 되찾아…기대·간섭 많은 부모일수록 위험 과학동아 l2019.05.27
- 정 교수팀은 통계수학적 모델링 기법을 도입해 부모의 간섭과 게임 과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재확인했다. 부모의 기대와 간섭이 크고, 부모의 불안과 우울 상태가 높을수록 게임에 대한 청소년들의 자기 통제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게임을 무작정 못하게 하면 하루 종일 ... ...
- 다이어트 방해하는 '뇌' 따로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4.24
- 연구팀이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찍은 뇌 영상을 분석해 비만과 뇌의 구조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뇌 구조로 인해 체중조절이 어려워 비만이 되기 쉬울 수 있으며, 비만 역시 뇌구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일로나 데커스 네덜란드 라이덴대 메디컬센터 영상의학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낙태 반대론'의 또 다른 얼굴2019.04.13
- 현상의 약 30-70% 정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성별, 종교적 성향과 상관 없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낙태 반대에는 성차별적 인식과 여성의 권리를 제한함으로써 이 차별을 계속 유지하고 싶다는 소망이 반영돼 있다고 언급했다. 어떤 사람들은 생명 존중이라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적 겸손도가 떨어지면 '꼰대'가 된다2019.04.06
- 자신은 아는 게 많다고 생각하며 주변 사람들을 무시한다는 것. 이런 현상은 교육수준과 상관 없이 나타났다. 이렇게 아는 건 없지만 목소리만 큰 사람들이 높은 자리를 차지하게 되면 그만큼 많은 고통을 퍼트리고 다니기 때문에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등 ‘겸손’의 미덕을 강조하는 ... ...
- '콜라 암 유발설 vs. 암 억제설' 논란 미궁 속으로동아사이언스 l2019.03.29
- 하버드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11만2897명을 대상으로 20년간 기저세포암과 커피 섭취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차, 청량음료, 초콜렛, 커피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를 많이 먹으면 먹을수록 기저세포암 발병률이 떨어졌다. 한 교수는 “이런 결과는 카페인이 기저세포암의 발병을 막는다는 것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젊을 때 겪은 경기침체는 평생을 늪에 빠뜨린다2019.03.17
- 겪었던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나이, 성별, 회사의 소득 및 자산 규모와 상관 없이 같은 업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은 더 높은 연봉과 좋은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자신감이 높은 CEO들이 그렇지 않은 CEO들에 비해 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2019.03.12
- 챙겨 먹는 비율은 높더라. 그러니 아침을 먹는 게 비만을 예방한다. 이런 게 관찰 연구로, 상관관계가 있더라도 인과관계라고 보기는 어렵다. 반면 참가자를 두 그룹을 나눠 한쪽은 아침을 먹게 하고 다른 쪽은 먹지 않게 한 뒤 체중의 변화나 칼로리 섭취량의 변화를 비교하는 연구는 다른 변수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소확행'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2019.03.09
- 이후 ‘만족 지연’ 행동을 덜 보이는 현상이 나타났다. 집행 기능의 경우 소득 수준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양육자와의 관계가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자와 갈등을 많이 겪는 편인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이후 집행 기능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 가지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