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설비"(으)로 총 3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9.17
- ‘유령입자’라는 별명을 얻었다. 현재까지 중성미자를 검출하기 위해선 대규모의 설비가 사용됐다. 대표적 탐지기인 일본 기후현 폐광산의 깊은 곳에 묻힌 ‘슈퍼 카미오칸데’는 높이 40m의 거대 수조에 정제수 5만t을 채운 구조다. 반면, SNS는 두께 20m의 콘크리트 차벽 안에 담겼다. 중성미자 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2017.07.11
- 없다). 결국 알램 사이클을 채택한 시스템을 쓸 경우 보일러와 냉각탑이 없어도 돼 발전설비의 규모가 대폭 축소되기 때문에 건설에 들어가는 콘크리트와 철강의 양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넷파워는 올 가을 작동에 들어갈 데모 플랜트가 성공할 경우 2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30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미국 미시간대에서 건설 중인 '희귀동위원소 빔용 설비(FRIB)'에도 비슷한 RFQ 장치가 들어가지만, 아직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상태이다. 라온은 저에너지 상전도 가속기 부분과 고에너지 초전도 가속기 부분으로 나눠진다. 박 연구위원은 상전도 가속기 부분을 ... ...
- [동영상] 토종 로켓엔진 내뿜는 불기둥 ‘무시무시하네!2016.05.29
- 전남 고흥 나로 우주센터 중앙에 이치한 아파트 10층 높이(32m)의 거대한 연소기 연소시험 설비에서 진행됐다. 한국형발사체의 연료인 케로신(등유)과 산화제인 액체산소를 넣고 한번에 연소시키는 시험을 진행한 것이다. 여기서는 한국형발사체 1, 2단에 들어갈 75t급 엔진의 연소기와 3단에 쓰이는 ... ...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6.03.04
- 연구진들은 일본의 이전 선박보다 CO2 25%, NOx 90%, SOx 60%를 각각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 추진설비를 제작하는 이론적 기반을 확립했다고 발표했다. 10여 년이 지난 최근에도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연구·개발은 계속 진행하고 있다. 환경·동력계에서 진행하는 연구도 이 중 일부분이다. LNG 이용한 ... ...
- 그린십 기술로 환경과 경제 모두 살린다2016.02.29
- LNG추진선박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LNG 벙커링 인프라 구축을 계획하고 육·해상의 설비 관련법을 제정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무엇보다 한국은 대형 LNG추진선박 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어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 아래 향후 조선업의 미래 성장 동력원이 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 ...
-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동아사이언스 l2016.02.26
- 지사에서 일할 정도로 해외 진출도 활발하다. 국내에도 1990년부터 일부 농가에 프리바의 설비가 도입됐다. 프리바 마케팅 매니저 데니스 드비트(Dennis de Wit)가 본사의 곳곳을 안내하며 주변의 시설 농가와 전문인력이 프리바의 성장 비결이 라고 소개했다. “농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빠르게 실제 ... ...
-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의 성공 사례2016.02.24
- 연료전지를 도입한 가구가 1700여 가구에 달 한다. 그러나 전기요금의 절약 효과나 설비의 운전 측면에서 만족을 보이는 소비자는 일본처럼 많지 않다. 오히려 가스요금이 더 늘어나서 경제적 절감효과가 없거나, 구매 후 애프터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해 현재 방치해 둔 가구의 수가 예상 외로 많다. ... ...
- 한국은 글로벌 연료전지 테스트베드동아사이언스 l2016.02.24
- 사례는 현대차의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투싼ix, 포스코에너지의 58.8MW 연료전지 발전설비가 있다. 양 PD는 “이 외에도 부품 국산화 성과 중 하나로 개발된 분리판,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연료전지 발전기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에 합병된 현대하이스코는 2012년 백업전원용 연료전지를 ...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2016.01.18
-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고생하다가 오지인 홋카이도대에 간신히 자리를 잡았다. 실험설비도 연구비도 없던 이곳에 넘치도록 있는 건 눈이었다. 우연히 벤틀리의 눈결정 사진을 본 나카야는 본격적으로 눈결정 연구에 뛰어들었다. 실험실에서 눈결정을 키우려고 갖은 시도를 하던 나카야는 1936년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