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스페셜
"
흔적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층에서 이들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석기들을 무더기로 발굴했다. 석기 중에는 불에 탄
흔적
이 있는 부싯돌이 여러 점 있었는데, 연구자들은 6번 층의 시료 8점, 7번 층의 시료 6점을 대상으로 열발광연대측정법을 써서 연대를 측정했다. 광물이나 토기 같은 물질의 결정에는 결함이 존재하는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남녀차별 여부를 추측할 수 있을까. 연구자들은 당시 사람들의 유골에 남은 음식의
흔적
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 즉 신석기시대에는 남녀가 먹은 음식에 차이가 없었지만 청동기시대에는 남성에 비해 여성의 식단이 훨씬 못했다는 것이다. 즉 여성의 권리가 추락한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기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개발 최근의 연구성과에 대해 조윤경 그룹리더는 "혈액, 소변 등 체액에서 암의
흔적
을 찾는 혈관 내 순환 종양세포(이하 CTC)나 나노 소포체 등을 '액체 생검(liquid biopsy)'에 사용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랩온어디스크를 개발한 것'이라고 정리했다. 생체에서 조직 일부를 떼어내 복잡하게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있는 수준이다. 아무튼 화석이 넘칠 정도로 많은 네안데르탈인과는 달리 데니소바인은
흔적
을 거의 남기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 데니소바 동굴에서 남동쪽으로 4000km 떨어진 중국 땅에서 두개골들이 발견됐고 그 형태가 예측 범위 내에 들어 있는 것이다.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장-자크 후블린은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중심은 이동이 전혀 없이 그 자리에 항상 존재한다. 지표에서 직접 우주선이 닿았던
흔적
이 발견됐다면 덮여있던 얼음이 녹아 지표에 드러난 적이 있었던 셈이다. 섀퍼 교수는 “그린란드 빙하는 우리의 예상보다 더 불안정하며, 과거에 있었던 일은 앞으로도 되풀이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실렸다. 북대서양생물문화기구(NABO) 연구진은 과거 그린란드에 살던 거주민들이 남긴
흔적
을 연구해 15세기경 절멸한 이유를 새롭게 밝혔다. 그린란드에 살던 사람들이 갑자기 사라진 이유는 역사학계에서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 그린란드에는 10세기 후반부터 11세기까지 노르웨이의 바이킹 5000여 ... ...
표범의 추억
2016.11.08
과거 한반도를 중임으로 동북아시아에 분포했지만 197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흔적
만 있을 뿐 목격되지 않고 있다. 현재 한반도 북쪽에 남아 있는 개체가 100마리도 안 되는 멸종위급종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 육식 올인해 얻은 것과 잃은 것 논문의 서론(Background)을 보면서 흥미로운 사실들을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알줄기, 뿌리줄기, 덩이줄기에 저장된 탄수화물(녹말)을 많이 먹었다. 게놈에도 그
흔적
이 남아 있다. 사람의 게놈을 보면 녹말을 소화하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5~7개인 반면 침팬지는 2개에 불과하다. 열매나 잎에 들어있는 탄수화물은 주로 포도당이나 과당 같은 단순당이므로 이 효소가 많이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얘기다. 그 뒤 지각변동을 겪으며 변성암으로 바뀌면서 세포는 물론 유기물의
흔적
도 사라졌지만 운 좋게 전반적인 형태는 보존됐다. 연구자들은 그린란드 이수아의 스트로마톨라이트가 그보다 2억 년 뒤 서호주의 스트로마톨라이트와 구조적으로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37억 년 전도 생명체가 ... ...
가장 효과 좋은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04
과거 지질활동이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세레스에서 얼음의
흔적
도 탐지했다. 세레스의 작은 크레이터에서 얼음일 가능성이 높은 은빛 물질을 발견했다. 돈은 세레스 상공 380㎞ 궤도를 돌며 관측작업을 진행했다. 현재 NASA는 추가 관측을 위해 돈의 궤도를 1400㎞로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