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예상밖
d라이브러리
"
생각밖
"(으)로 총 2,94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8606
미국은 빙하와 협곡, 대삼림, 그리고 늪과 호수등 자연경관을 그대로 보존하여 후세에 남겨 주려고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야생으로의 회귀포장마차 대열이 몇겹이고 이어진 아팔라치아 산맥의 캠버랜드 산협을 넘어 서부로 향했던것은 그렇게 먼 옛날의 일은 아니다. 1760년, 유명 ... ...
기적의 영양소 토코페롤 그러나 인스턴트 식품에 첨가할 때엔…
과학동아
l
198606
요즘 인스턴트식품인 라면에 토코페롤을 첨가했다는 광고가 요란하다. 심지어는 비누에다가 토코페롤을 넣었다는 말도 들려온다. 토코페롤만 섭취하면 모든 게 해결될듯한 기세로 그 존재가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과연 토코페롤의 정체가 무엇이길래 현대인의 식생활에 총아가 되었을까. 각종의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06
원자력 발전소에서 최악의 사고라고 일컬어지는 '멜트 다운'이 체르노빌에서 일어났다. 전세계를 죽음의 재 공포에 빠뜨리고 원자력 산업계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게 한 체르노빌 사고의 베일을 벗긴다.지난 4월 26일 새벽, 소련의 대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에프'는 흑해에서 불어오 ... ...
종양수술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8606
'인체는 전기회로와 같다'는 놀라운 이론을 발표한 스웨덴 방사선 의학자 '비요른 노르덴슈테름'의 임상실험과 방대한 이론체계를 디스커버지에서 소개한다. 어둠이 채 가시지 않은 새벽, '스톡홀름'의 '비요른 노르덴슈테름'박사의 임상실험실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외과의사들이 손들어버린 ... ...
천문 우주과학연구소 김두환 소장 '우주과학은 첨단기술의 총화'
과학동아
l
198605
"우주과학 기술은 당장의 효과는 적을지 모르지만 관련 산업에 미치는 부추김 효과는 엄청날 것입니다"대덕연구단지 북쪽끝 논두렁에 덩그마니 둥근 돔이 하나 있고 이제 막 치장을 끝낸 하얀 건물 하나가 앙증맞게 자리잡고 있다. 나중에 눈에 띈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부설 천문우주과학연구소'라 ... ...
신깐센은 왜 2등이 되었나?
과학동아
l
198605
일본의 철도는 정확함과 스피드로 유명했다. '특히 신깐센(新幹線)' 은 일본 공업기술의 정수를 모아 제작된 것으로서 '꿈의 초특급'의 대명사로 통용 되기도 했다. 일본철도 No1 무너져그러나 적자에 허덕이던 국철(国鉄)이 분할돼 민영화될 계획 때문인지는 몰라도 이런 영광은 옛날 이야기가 됐다 ... ...
케이블TV와 통신위성
과학동아
l
198605
1957년 인류최초의 인공위성 스프트닉 1호가 하늘을 나르고 1964년 사상최초의 통신위성이 멋지게 태평양상공에 정지하면서 우주통신시대는 개막되었다. 1945년 10월 영국의 SF(공상과학소설) 작가 '아더 클라크'(Arrthur Clerk)는 3개의 정지위성(靜止衛星)을 이용한 전 지구를 한계통으로 묶는 통신시스 ... ...
안에서 찍은 첨성대
과학동아
l
198605
경상북도 경주시 인완동 반월성(半月城) 동북쪽에 있는 첨성대(국보31호)는 현존하는 동양최고의 천문대로서 의심이 여지가 없으나 유감스럽게도 현재의 학문수준으로는 그 신비의 베일을 완전히 벗기지 못하고 있다.우선 첨성대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첨성대의 지상 높이는 9.17m의 ... ...
바다위에 해상도시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605
바다공간은 미래의 땅이 될 수 있다. 다행히 우리나라 연근해는 수심이 얕아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국토가 협소하고 평지가 비교적 적은 우리나라이지만 반드시 좁다고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 바다가 있기 때문이다. 국토(22만km²)의 3배가 넘는 대륙붕(68만km²)과 총연장 1만7천2백km(육지부 8천9백km, ... ...
원자력 발전
과학동아
l
198605
우라늄 1g을 분열시킨것만으로도 2만KW/H의 열이 생긴다. 이것은 석탄 약3t을 태운 열과 같다. 이런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만드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 활발해지고 있으나 주변 환경에 방사능 물질을 누출시키는 영향도 문제가 되고 있다.전력생산에 이용되는 원자력의 대부분은 핵연료를 원자로에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