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렁이의 비밀② 특별한 생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지렁이가 두 부류로 나뉜 시기가 하나의 대륙으로 붙어있던 판게아*가 남북으로 쪼개진 1억 8000만년 전쯤과 일치했기 때문이지요. 즉, 땅이 이동하면서 그 땅속에 살고 있던 지렁이도 함께 이동한 거예요. 최훈근 지렁이농업연구소장은 “약 5억 년 전 지렁이 알 화석이 발견되며 그쯤 처음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고안한 사고 실험이에요. ‘트롤리 문제*’로 잘 알려졌죠. 이 문제는 자율주행차를 처음 개발하면서부터 논의되고 있는 대표적인 윤리 문제예요. 인간도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는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이에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하버드대학교, 캐나다 ...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서울시 환경상 최우수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매년 1월부터 2월까지 대원을 모집해요. 4월 발대식을 시작으로 11월까지 제비, 매미, 개미, 민물고기 등의 현장교육이 이어지며, 탐사 활동을 통해 여러 생물 종의 생태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어요. 올해 참여 기회를 놓친 친구들은 내년 1월부터 8기를 모집하니 도전해보세요! ... ...
- [실전!반려동물] 뽀삐야 점프는 조심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수개월 이상 방치되면 뒷다리의 허벅지 근육이 약해지고 골격이 변해 수술을 하더라도 슬개골이 다시 탈구될 수 있어요. 따라서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평소에 반려견의 걸음걸이를 잘 관찰해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무엇이든 만들어요! 밴드 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얼마나 필요할까요? 피라미드 모형은 사각뿔로, 정사각형 블록 1개와 정삼각형 블록 4개가 필요해요. 이처럼 서로 다르게 생긴 도형들을 섞으면 다양한 입체도형을 만들 수 있죠.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물건들 중에서도 위와 같은 원리로 만든 것이 하나 있어요. 바로 ‘축구공’이랍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줍기 시작했어요. 포도알에서 어떻게 선충을 관찰할까요? 곰팡이가 핀 포도알 서너 개를 비닐백에 담은 후 물을 조금 넣어요. 그리고 손으로 포도알을 조물조물 터뜨려 잘 섞어주면 관찰 준비 끝! 으깬 포도에 현미경을 들이대자, 화면에 길쭉하고 거대한 벌레가 꿈틀거리는 모습이 보였어요.“와, ... ...
- 지렁이의 비밀① 지렁이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당연하죠! 이번 연구는 시작일 뿐이에요. 이번 연구에서 기후가 지렁이의 종 다양성과 개체수에 영향을 미친단 사실을 밝혔다면, 다음 연구에서는 기후와 지렁이 군집 사이에 구체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는 게 목표예요. 이어서 기후 변화가 지렁이 군집을 바꾸는 게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 ...
- 전략적으로 땅 따먹는 퍼즐 게임, 블로커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개), 도미노(2개), 트 리오미노(3개), 테트로미노(4개), 펜토미노(5개)라는 이 름이 붙어요. 4개의 정사각형 조각으로만 이뤄진 테트리스와 달리, 블로커스는 4명의 게임 참가자가 빨강, 파랑, 노랑, 초록색 중 하나의 색을 골라 폴리오미노 블록 조각으로 총 400칸의 보드판을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어떻게 하면 죗값을 치를 수 있을까요? 아우야, 너도 얼른 용서를 빌어!”호랑이와 꿀록, 개코, 해님이가 모두 늑대를 쳐다봤어요. 그러자 늑대가 입을 열었지요.“내가 고백할 것이 있네.” 용어정리* 운동에너지 : 운동하는 물체가 지니는 에너지.* 나노 :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말. 나노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빠른 개미, 사하라 은색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있는 시간이 길어져. 독일 울름대학교 연구팀이 우리 움직임을 관찰한 결과 사하라 은색 개미의 걸음걸이 사이에 발이 땅에 닿는 시간은 7ms(밀리초) 정도밖에 되지 않았지. 와! 사막에서 그렇게 빨리 달리다니! 덥진 않니? 2015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난팡 유 교수팀은 우리 몸에 흡수된 열을 ... ...
이전2862872882892902912922932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