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기한
음량
척도
표준
기준
깊이
d라이브러리
"
길이
"(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댄서의 움직임을 단백질 분자 구조의 변화로 보면 된다.조 교수는 수십 펨토초
길이
의 레이저펄스를 이용한 다차원분광학으로 식물 광합성 초기단계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이동과정을 연구한 결과를 2005년 ‘네이처’에 발표했다.“모든 에너지의 근원은 태양이고 그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섬모충류의 표피, 다세포동물의 섬모상피 세포의 자유표면에 존재하는 운동성 세포기관
길이
는 수μ(${10}^{-6}$) 내지 수십μ, 지름은 약 02μ 정도인 것이 보통이다 비교적 긴 것을 편모라 하여 따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구조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 작용은 주위의 물에 힘을 미쳐 이동운동을 하는 외에도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그림 2] 또 예각삼각형에서는 3변 위에 각 꼭지점을 하나씩 가지는 삼각형 중에서 둘레의
길이
가 가장 짧은 것이 수족삼각형이다 센타우루스자리에 가까운 남천의 작은 별자리 18세기 프랑스의 천문학자 N L 라카유가 설정했다 육안성은 약 30개로서 가장 밝은 별도 43등에 지나지 않아 눈에 띄지 않는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위성카메라는 반사경의 초점거리가 길고 지름이 커야 해상도가 높다. 따라서 경통
길이
가 길고 거울 지름이 큰 전자광학카메라가 성능이 좋고 대형위성에 탑재하기 유리하다. 하지만 앞으로 접이식 광학시스템을 개발한다면 위성카메라는 위성을 발사할 때 접힌 상태로 있다가 우주궤도에서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발명됐다는 소식을 듣고 원리를 연구하고 렌즈를 개선한 끝에 당시로서는 가장 좋은,
길이
1.6m짜리 30배율 천체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리고 1610년 망원경을 이용해 달 표면, 은하수의 별, 목성의 위성 등을 새로 발견한 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라는 책에 실어 세상에 알렸다.갈릴레이와 동시대에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 중합반응을 잘 일으키는 것은 이 π결합 때문이다 단일결합이나 2중결합에 비해 결합
길이
는 짧고 결합에너지 및 결합력의 상수는 크다 살리실산에 아세트산무수물 또는 염화아세틸을 작용시켜 살리실화한 것 아스피린이라고도한다 아스피린은 상품명이며 현재는 아세틸살리실산이라는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판자 모양의 빙산 2개를 선택했다. 하나는
길이
2km에 폭 0.5km의 빙산 W-86이고 다른 하나는
길이
21km에 폭 5km의 빙산 A-52이다. 높이 41m의 W-86은 300m 깊이까지, 높이 25~32m의 A-52는 230m 깊이까지 각각 바닷물에 잠겨 있었다.다음은 현장 조사. 연구팀은 남극조사선 ‘로렌스 굴드’를 타고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볼 수 있다.실제로 모겐족이 어떤 방법으로 시력을 검사해 9.0이 나왔는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하지만 시력의 생물학적 한계는 2.5 정도이므로 9.0이란 수치에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 다만 이들의 시력이 보통 사람보다 좋다면 선천적으로 좋은 눈을 타고났을 가능성이 크다. 또 좋은 시력을 가진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매년 3월 21일 즈음으로 낮과 밤의
길이
가 같은 날이다. 이날 이후부터 낮의
길이
가 밤의
길이
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예로부터 춘분을 한해의 시작이나 부활을 의미하는 날로 삼았던 곳이 많았다.고대 로마의 달력은 춘분이 1월 1일이었으며 기독교에서는 춘분 이후 보름달이 뜨고 난 첫 주일을 예수의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간섭효과로 나타난 상에서 각 지점의 밝기 차를 거꾸로 계산하면 미세한 박막의 두께나
길이
를 알아낼 수 있다김 단장은 “물체에 쏘는 빛의 면적을 넓히면 LCD 박막 표면의 일정 부분을 ‘통으로 찍듯’ 한꺼번에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며 “현재 상용화된 디스플레이 평판 검사 장비는 한 번에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