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식물에게 더 큰 피해를 준다. 비는 내리는 대로 흘러 강으로 가지만 눈은 식물곁에 오래
남아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산성비에 의해 나팔꽃이 받는 피해 조사전문적인 통계 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에 내리는 산성비에 대해 조사할 수 있지만 집 근처에 내리는 비의 pH가 얼마나 되는지 ... ...
21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우리는 아이들만을 위해 만화영화를 만들지는 않는다. 우리는 어른들 마음 속에 아직
남아
있는 동심을 위해 만화영화를 만든다." 컴퓨터가 점령한 카메라의 세계그러나 이 영화가 더 매력적인 이유는 재미있고 기발한 이야기보다는 1백% 3차원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장편 애니메이션이기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세포는 정상적으로 포도당을 섭취하지 못한다. 흡수되지 못한 포도당은 혈중에
남아
혈당농도를 높이고 우리 몸은 삼투압 유지를 위해 물을 많이 먹게 된다. 콩팥은 과량의 포도당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해 과량의 포도당이 소변에 섞여 나온다.당뇨병의 영향은 몸 전체에 나타난다. 오래 굶은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대해 진짜로 아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아직까지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J. P. 그래슬박사는 뉴저지주 뉴브룬즈위크의 럿거스대학 해양해안학연구소 책임자이며 이 분야의 권위자다. 그는 신비로운 심해저가 지구의 운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암시를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다."종의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오히려 새의 생태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됩니다.길덕만그래도 이 정도로 새가
남아
있으니 물 속 생태계는 안심이 되더군요고석종대구와 천수만이 대조적이어서 놀랐습니다. 이들을 비교하며 학생들에게 소개할 생각입니다. 종 다양성 보존을 위해 천수만처럼 인공생태계를 조성할 필요도 ... ...
콜레라 전염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미스터리로
남아
있던 콜레라의 전염 과정이 밝혀졌다. 지난 1월 발간된 미국의 한 의학잡지(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 따르면 콜레라를 발생시키는 비브리오균은 바다 플랑크톤에 붙어 이동한다. 만일 어떤 시기에 플랑크톤 수가 늘어나면 비브리오균도 따라서 증가한다. 그 결과 콜레라 ... ...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대로 필요한 구색은 대략 갖추어진 셈인데, 무엇을 보여주느냐 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그리고 이것을 결정하는 것은 온전히 전 박사의 몫이다."93년에 열린 대전 엑스포와 이 행사를 비교해보면 어떨까요. 대전 엑스포에는 국내에서 1천만명, 외국에서 50만명이 관람을 했습니다. 반면 인터넷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
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판도라의 상자의 재액(환경 오염)을 대가로 치뤄야 할 운명이지만, 다행히 상자 속에
남아
있는 '희망'(과학 기술)이 있어서 우리는 밝은 미래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또는 석사과정의 학생들은 한번쯤 고민을 하게 된다.왜냐하면 유학을 가야할지 KAIST에
남아
야할지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다. 나 역시 KAIST 진학과 유학 사이에서 고민을 했고 결국 KAIST를 선택해 올해 박사2년 과정을 맞이한다.KAIST 학부 시절, 유학은 KAIST 진학보다 더 도전적인 그리고 매력적인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러나 한글 윈도95를 조금 조작하면 확장완성형을 읽고 쓸 수 있어 아직도 불씨는
남아
있다. 지금에 와서 한글 윈도 95에 포함된 확장완성형을 완전히 들어내라는 것은 무리한 요구일 터이고, 다만 혹시나 확장완성형에 미련이 있는 개발자가 있다면 잘못된 생각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죽은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