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원리로 만들어진 것이다.결국 위원회는 심오한 자연의 법칙을 발견한 것도 아니면서
인류
의 삶에도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업적에 상을 준 셈이다. 이때 이후로 선정위원회는 발명에 대해서는 수상을 꺼리게 됐다. 20세기를 바꾼 발명왕 에디슨이나 라이트형제가 노벨상을 타지 못한 이유이다.191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큰 NEA이다.지금까지 약 8백여개의 NEA가 발견됐으며, 이들 중 지구에 부딪쳤을 경우
인류
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름 1km 이상인 소행성이 최소 7백개 이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지름이 10km 이상인 NEA는 에로스를 비롯해 3개만 발견됐다.에로스는 소행성 분류상 내부 소행성대에서 일반적으로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록 그 결과가
인류
에게 재앙을 가져다 줄 수도 있겠지만 자신은
인류
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또 “상식이란 우리가 자라면서 익숙해진 편견의 다른 이름일 뿐”이라며 상식을 깨는 새로운 이론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험을 통한 검증이 ... ...
라마와의 랑데부(Rendezvous with Rama)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할만한 작품이 바로 라마와의 랑데부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외계 우주선은 기본적으로
인류
가 우주 궤도에 건설하려는 우주 식민지 모델과 많이 닮아 있다. 수십 km 길이의 거대한 원통이 자전하면 안쪽 표면엔 원심력에 의한 인공중력이 생기므로, 작품에 묘사된 것처럼 호수나 도시 건설이 ... ...
양자역학의 해석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어려운 문제라는 점에서 더 흥미로울지도 모른다. 이 문제에 골몰함으로써 우리
인류
가 사고하는 방식과 이론의 구조 같은 문제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
④ 미시세계에서 우주까지 설명하는 만물박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따라서 현재까지 양자론은 추호도 그 한계를 의심할 여지가 없는 완벽한 이론이다.
인류
의 과학기술은 매우 작은 소립자의 크기에서 우주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했지만 양자론에 어긋나는 단 한가지 실험도 존재하지 않는다.그렇다면 한계는 없는가. 이론물리학자들은 양자론에도 ... ...
실리콘밸리와 할리우드를 접목한 CNET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버지니아 대학을 다닌 그는 일반적인 부유한 집안의 아이들과는 달리 경제학 대신
인류
학을 전공했다. 폭넓은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미술과 미술사에 관심을 보였으며 아랍어를 공부하기도 했다.대학시절 그는 임대 아파트 정보를 제공하는 렌털 네트워크라는 회사를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황금종 개구리 한마리 때문에 대형공연장 공사를 중단한 올림픽당국.9백만t의 쓰레기 위에 건설된 주경기장.매년 1백만kW이상의 전력을 생산하는 ... 따라 시드니 올림픽이 완벽한 '그린올림픽'으로 치러질 수 있었다.가난해서가 아니라
인류
의 미래 때문에 그들은 재활용을 선택한 것이다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지나는 길인 황도 상에 위치한 12개 별자리를 말한다. 이들 별자리는 12개밖에 없는데
인류
의 1/12이 모두 같은 운명이라는 것일까. 그렇게 잘 맞을 것 같지 않은데도 많은 사람들이 꽤 열심히 보는 것 같다.가을밤하늘에서도 황도 12궁을 여럿 만날 수 있다. 때늦은 태풍이 휩쓸고 지나간 맑은 ... ...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1세기에도 계속해서
인류
의 빛나는 지적 유산으로 남게될 책, '과학혁명의 구조'.여기서 저자는 한 시대의 과학은 당대의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인식체계인 패러다임에 의해 규정되며,기존의 패러다임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될 때 과학은 그 근본부터 완전히 바뀌는 혁명적 변화를 경험한다고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