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셉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제6권(10책) 생물학 및 생물학기술, 제7권(4책) 사회적 배경 등으로 구성돼 있다.20세기
최대
의 저술근대 이후 보기 드문 이 같은 대규모의 저술 작업은 초기 몇명의 중국인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개인적 연구활동으로 출발했으나, 현재는 그의 기획 방향을 따라서 전세계 중국과학사 연구자들의 ... ...
04 난치병 치료의 든든한 동반자 한의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서양의학. 수백년 동안 서로 다른 길을 걸어온 두 의학이 서로 손을 잡았다.인류
최대
난치병 중 하나인 암을 정복하기 위해서다. 한∙양방 병용치료가 어떤 원리로 이뤄지고 있는지 알아보자.부정거사(扶正祛邪). 한의학으로 암을 치료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 무슨 뜻일까. 바른 것(正)은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힘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바로 탐침에 부착된 캔틸레버의 휜 정도로 말이다.단백질이
최대
로 풀리는 거리까지 탐침을 움직였으면 다시 반대방향으로 바늘을 움직인다. 이때 단백질이 잡아당기는 힘을 측정한다. 탐침과 기판과의 거리에 따라 측정된 힘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마치 톱니모양처럼 ... ...
③ 21세기 첫 전장에 동원되는 첨단무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적의 위치를 확인하면 컴퓨터는 적으로부터 반사돼 되돌아오는 레이저를 분석해 적에게
최대
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거리를 계산해낸다. 곧이어 발사된 20mm 유탄은 컴퓨터에 의해 계산된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날아간 뒤 폭발유도시스템에 의해 적의 머리 바로 위에서 폭발한다.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있다.각각의 지하 실험실은 높이가 18m 이고 길이는 1백m 이상이다. 지하 실험실의
최대
깊이는 약 1천4백m다. 현재 Borexino(태양중성미자측정), Cresst(암흑물질 탐색), Dama(암흑물질 탐색) 등을 포함해 16개 이상의 실험이 진행중이다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위해 구체적인 논의가 현재 진행중에 있다. 이 논의는 이번 학회의 결실로 맺어진
최대
성과 중의 하나다.학회를 무사히 마치고 블랙홀로부터 벗어나 안도의 한숨을 쉬던 차에 뉴욕에서 들려온 세계무역센터의 붕괴 소식은 충격적이있다. 단 하루의 시간차로 이번 학회 참가자들이 무사히 귀환할 수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1만년이면 1억종이 멸종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현재 지구상에 있는 생물종의 수를
최대
1억종이라고 가정하면, 1만년 이내에 현재 생존하고 있는 생물들은 모두 없어진다는 얘기다. 현재 멸종의 속도는 위에서 알아본 어떤 시기의 멸종 속도보다도 빠르다. 그래서 학자들은 지금을 ‘6번째 대멸종 ... ...
기출문제 정복해 2학기 수시 노린다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채워 넣는다. 이와 같이 물갈이를 무수히 반복했을 때 어항속의 물에 녹아있는 광물질의
최대
농도가 1.5 g/mL 를 넘지 않도록 하는 V의 최소값을 구하시오. (단, 그 광물질은 증발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한양대)■ 평지에서 일정한 속력으로 물체를 쏘아 올릴 때, 물체를 가장 먼 지점에 떨어지도록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주목받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 전기를 가하면 빛을 내는 전기발광(EL) 유기 디스플레이가
최대
관심거리다. 전기발광 유기 디스플레이는 전기를 가하면 빛을 내는 분자소재를 이용한다. 전기발광 유기분자는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매우 밝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전체 칼라가 가능하다. 또한 ...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1935년 처음으로 제기된 후 3세대가 지나도록 해결되지 않고 있는 분자생물학 분야의
최대
난제다.단백질 분자가 이루고 있는 3차원 입체구조 연구는 단백질체학의 출현 이전부터 구조생물학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단백질체학 이전에는 단백질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핵자기공명법(NMR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