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뉴스
"
대신
"(으)로 총 4,649건 검색되었습니다.
MS가 고민하는 교육...“변하는 교실, 필요한 건 유연성”
2018.03.14
적용할 필요도 있다. 안토니 쿡은 단순히 교육 과정과 과목, 혹은 특정 스킬에 집중하는
대신
유연성을 꺼내 들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하고, 변화를 유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기본 소양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요즘 주목받는 데이터 과학자도 10년 전에는 존재하지 ... ...
화이트데이엔 'SKY 초콜릿'으로
과학동아
l
2018.03.12
제공 ‘서울대 초콜릿’을 입에 넣고 살살 녹이며 맛을 음미하다보면 우유의 느끼함
대신
콩의 고소한 맛이 입안에 퍼진다. 일반적으로 초콜릿에 들어가는 우유를 약콩을 분쇄한 두유로 대체했기 때문이다. 이 초콜릿은 서울대 기술지주회사 ‘밥스누(BOBSNU)’를 통해 ‘쇼코’라는 이름으로 2015년 ... ...
[짬짜면 과학 교실] 공기로 짠 양탄자
2018.03.10
없으면 목소리로 하는 말을 배울 수 없습니다. 그래서 안타깝게도 청각 장애인은 말소리
대신
수화(손짓, 몸짓)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소리를 들을 수 있고 말소리를 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다행한 일입니다. 말소리에도 색깔이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소리에 색깔이 있을 리 없지만, 음색(音色 ... ...
차 달리면 도로가 전기 만든다...고효율 압전 발전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기반 압전 발전장치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이 없는
대신
발전 효율이 낮아 상용화가 어려웠다. 강 박사팀은 도로의 미세한 진동 같은 작은 변위로도 압전 소재가 많이 변형될 수 있도록 장치를 개발했다. 실제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도로 변형을 모델링해 ... ...
가짜 뉴스 전성시대.. 여기엔 과학적 이유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하나의 뉴스가 많은(10만 명 이상) 사람에게 널리 공유되는 ‘장타’가 거의 없었다. 그
대신
적은 수(1000명 이하)의 사람에게 공유되는 ‘단타’가 많았다. 하지만 이렇게 단타를 치는 사람 수가 워낙 많아 진짜 뉴스보다 오히려 널리 퍼진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특히 정치 분야의 가짜 ... ...
달라진 우버, '차량 공유'에서 '도시 모빌리티'로
2018.03.08
개체가 아니라 도시의 일부로 변화하고 있다. 우버가 그 동안 이야기하던 ‘공유경제’
대신
‘도시의 모빌리티’라는 단어를 강조하는 것도 차량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졌다는 이야기다. 우버가 가야 할 길은 여전히 멀다. 특히 택시 시스템이 잘 갖춰진 동북아시아 시장의 마찰은 당장 풀릴 ... ...
MWC 2018에서 본 5개의 뷰포인트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8.03.07
VIVO라는 회사의 제품은 눈길을 끌었다. 이 회사의 Apex라는 스마트폰은 베젤을 없앴다.
대신
디스플레이 액정을 통해 지문을 인식하고, 카메라는 숨겨져있다가 팝업 방식으로 나타났다. 자동차가 메인이다 MWC의 M이 모바일(Mobile)이 아니라 모터(Motor)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모바일 기기가 ... ...
스페이스X는 왜 로켓을 재활용할까?
과학동아
l
2018.03.07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직접 운전하던 차다. 스타맨은 두툼한 우주복
대신
스페이스X가 자체 개발한 얇은 ‘패션 우주복’을 입었다. 머스크는 지난해 이와 동일한 우주복을 입고 찍은 사진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공개하기도 했다. 스타맨이 선택한 ‘우주 드라이빙’ 음악은 ... ...
“아~ 피곤해” 갈매기의 지혜
팝뉴스
l
2018.03.06
하지만 높이 날려면 많이 피곤하고 힘이 들 것이다. 사진 속 갈매기는 하늘 높이 나는
대신
에 편한 쪽을 택했다. 생명을 잃고 바다에 떠다니는 물고기 위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다. 사진은 한 미국인이 최근 SNS에 공개해 화제가 되었다. 갈매기는 몹시 피곤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갈매기는 ... ...
청소년이 늦잠을 자더라도 깨우지 말아야 하는 이유
2018.03.06
실제 뉴질랜드에서는 2016년부터 국가가 미성년을 돌보는 기간을 만 18세에 갑자기 끊는
대신
18~25세를 청소년과 성인의 ‘과도기’로 규정해 교육비와 주거보조비 등 각종 지원을 하고 있다. ‘가지치기 가설이 때를 만났다’는 제목의 기고문도 2012년 기사의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청소년 ... ...
이전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