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0,479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신성 이용한 암흑에너지 측정법
과학동아
l
201102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 결과 초신성까지의 거리를 잘못 계산하곤 했다. 연구팀은 100개
이상
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신성의 색은 빨리 어두워질수록 붉은색을 띠고 반대일수록 푸른색을 띤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폴리 박사는 “20년 가까이 천문학자들이 찾아내려던 방법”이라며 “1a형 초신성의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02
레노가 변환상수를 측정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레노의 감도로는 변환상수가 2%
이상
일 때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승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검출기로 3년 정도 자료를 쌓으면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변환상수가 2% 보다 작을 ... ...
지구에 숨어든 외계행성의 전사
과학동아
l
201102
있다. 한 사람이 죽을 때 마다 오른쪽 발목에 띠 모양의 상처가 생긴다. 하지만 가드가 둘
이상
함께 있으면 순서에 상관없이 죽을 수 있다. 그래서 가드들은 지구 곳곳에 흩어져 서로 연락 없이 지낸다.가드는 각자 적에게 걸리지 않도록 가짜이름과 가짜직업을 만든다. 정체나 능력이 드러나면 아무 ... ...
폐품으로 만든 태양광 로봇 쏠라 로버
과학동아
l
201102
실천할 수 있다. 캔, 우유팩, 페트병 등으로 자신만의 차를 완성해 보자. 초등학생
이상
이라면 혼자서도 만들 수 있다. 지금은 친환경이 대세!최근 친환경 정책은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화석연료를 쓰면서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를 가속시키기 때문이다.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02
자살한 앨런 튜링도 떠오른다.이들처럼 대중에게 잘 알려진 과학자는 아니지만 이들
이상
으로 극적인 삶을 산 과학자가 있다. 1987년 일산화탄소가 생체신호전달물질이라는 사실을 밝힌 영국 런던대 울프슨생의학연구소 소장인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다. 독재에 저항하다 고문까지 당해1944년 중미 ...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102
특수성 때문에 특별하게 봤다. 하지만 무한한 복제가 이뤄지면 감상자는 작품을 더
이상
특별하게 보지 않는다. 만일 고유성으로 인한 특별함이 사라지면 예술도 사라지는 걸까.벤야민은 생활 속에서 이뤄지는 ‘산만한 감상’이 현대 대중예술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건축은 이런 산만한 예술의 ...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
수학동아
l
201102
다 아는 고수들은 승부를 가르지 못한다. 하지만 여기에 ‘같은 말을 계속해서 다섯 번
이상
움직일 수 없다’는 규칙을 추가하면 무조건 먼저 하는 사람이 이기는 수가 생긴다.하지만 이렇게 되면 놀이에서 가장 중요한 재미가 사라지고 만다. 승부를 겨루는 놀이의 핵심은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는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
수학동아
l
201102
것을 알고 있는 거지?”“해적선을 탄 4개월 동안 한 번도 해군을 만나지 않았어요. 뭔가
이상
하다고 생각했죠. 누군가 해적선을 보호하고 있다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혹시나 해서 공주님이 주신 모로코왕실의 퍼즐과 탈출경로를 포도주병에 넣어 바다에 띄웠죠.”“핫산, 당신이 그런 건가요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02
발사실험 결과에 대한 원고에서 *자연로그의 밑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로 e를 열 번
이상
이나 사용했다. 또 오일러는 1731년에 골드바흐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 수의 *쌍곡선에 로그를 취하면 1이 되는 수’에 문자 e를 사용했다. 그러다가 1736년에 출판된 그의책 ‘역학(Mechania)’에 문자 e가 최초로 ...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
수학동아
l
201102
된다는 말의 정의는 b×c=a인 수 c가 한 개 있다는 뜻이에요. c가 없어도 안 되지만 두 개
이상
이어도 안 되겠지요? 이 뜻에 비춰볼 때 3을 0으로 나눈 값을 구하려면 0×c=3인 수 c를 구하면 돼요. 그런데 어떤 수에 0을 곱해 3이 되나요? 이런 수는 없어요. 물론 3이 아니라 영이 아닌 어떤 수에 대해서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