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사
상사
사업
업체
기업체
그룹
상회
d라이브러리
"
기업
"(으)로 총 3,3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Ⅲ 지능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소련에 여행가서 크레믈린궁전이 어디냐고 소련사람에게 물어볼 수 있다. 이밖에
기업
의 경영전략 수립, 컴퓨터의 직접 교육, 행정안내, 전화설문조사, 컴퓨터 진료 등 응용분야는 무한하다.또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대단히 크며 컴퓨터 사용문화를 바꿔놓을 것이다. 컴퓨터공포증에 걸리지않고 ... ...
휴먼컴퓨터 정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말했어요."그러면 '휴먼'은 삼보컴퓨터의 자(子)회사인가. 돈을 계속 투자만 하는
기업
인이 과연 있을 수 있을까. 두 사람 사이에는 어떤 묵계가 있을까. 무슨 인척관계라도 있는걸까. 왜 삼보의 자체 연구팀에 편입시키지 않았을까. 의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우리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을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전제 위에서 가능한 것인지도 모른다. 더욱이 신제품개발에 인색한 국내 컴퓨터
기업
들의 생리상 부단한 소수 엘리트들의 자극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이 글에 소개한 사람들 외에도 새로운 한글코드체체인 '한글도깨비'를 개발, 컴퓨터 한글표현의 제약을 크게 완화시켰다는 평을 ... ...
미·일 반도체
기업
들 「밀월 관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제휴가 단기적으로는 반도체가격의 안정효과를 가져와 국내
기업
들에게 유리한 측면으로 작용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특허시비와 통상마찰을 가속화시키고 기술적인 고립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정부의 테크노폴리스계획은 어느 정도 완성단계에 들어섰다. 또한 92년까지 21개 민간
기업
연구소가 모습을 드러내고 부근에 1백20만평 규모의 첨단산업단지도 조성될 예정이다.그러나 과학기술원이 연구단지내에서 갖는 위상은 단지 하나의 연구소가 추가된다는 의미보다 밀집된 '싱크탱크'(Think Tank ... ...
PART Ⅱ HDTV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전송분야는 전자통신연구소가 개발주체로 선정됐다. 기타 산업응용분야는 민간
기업
이 주도할 예정. 연구개발비 투자계획은 (표1)과 같다. 미디어 혁명HDTV는 과연 어떤 제품이길래 일개 가전제품개발에 정부가 주도해 이처럼 부산을 떨고 있는 것일까. 전문가들은 HDTV를 단순한 가전제품으로 보지 ... ...
PART 2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유연성을 지니고 수직방향으로는 매우 단단하기 때문이다.현재 국내의 10여
기업
이 로봇개발에 뛰어 들고 있다. 그중 수직다관절로봇 분야에는 현대로보트산업 대우중공업 두산기계 기아기공이 참여하고 있다. 수평 다관절 로봇 분야는 삼성전자와 금성산전이 선행주자다.국내에서 개발한 로봇의 ... ...
연결주의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7년 미국의 몇몇
기업
들이 PC용 뉴로컴퓨터를 상품화함으로써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신경회로망이론, 그 이론적 개요와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본다.지난호에서 지적한대로 인공지능의 연구는 인간의 정보처리 양식의 실체와 관계없이 공학적으로 지능의 유형을 컴퓨터로 만들어 인간의 정보처리를 ... ...
열과 전기의 비밀통로 무전기로 둔갑한 「빨치산반합」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발달함에 따라 열전반도체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대되었다. 각국의 국가기관이나
기업
들은 열전재료의 성능향상과 응용기기의 개발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RCA에서 열전냉각을 이용하는 냉장고와 냉난방 장치의 모델제품을 선보인 것도 이 시기였다.그 뒤 50년대와 60년대에 걸쳐 미국과 ... ...
(주)건인 시스템 변대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많은 사람들이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들의 결심을 유도하려면 모험
기업
의 스타가 나와야 해요. 정부의 과기처나 상공부에서 의도적으로 키워주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어요. 스타의 등장은 기술혁신을 우회적으로 부추길 가능성이 큽니다."2, 3년 후를 목표로 계측장비 컴퓨터비전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