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지위를 획득하느라 피투성이가 된다. 그렇지 않으면 모험이나 로맨스와 같은 현실생활과
유리
된것을 추구한다. 요컨대 정신적인 양식이 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좋은 것이다. 남성에게는 그것이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이에 비해 여성은 대뇌변연계에서 쉽사리 자연스런 모양으로 아이덴티티가 ... ...
에너지와 주파수의 비스듬한 관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있어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것이 있는가 하면 안절부절 못하게 하는것도 있다.
유리
를 긁으면 등골이 오싹해질 정도로 불쾌한 소리가 난다는 것은 모두가 경험하여 잘 알것이다.일본의 민간연구기관인 정서과학연구소 '와타나베시게오'소장은 이런 소리 속에서 사람이 일반적으로 기분이 좋게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나오고 있다."대체로 업계에서 수출할 때 많이 쓰는 것이 꿀병을 이용한 4백g짜리
유리
병입니다. 그러나 좀더 좋은 재료를 개발해야지요. 저희 박물관에서는 조그만 용기에 김치를 넣어 팔고 있는데 뚜껑에 문제가 있는 것 같아 아직 기업에서는 쓰이지 않하고 있어요. 김치의 용기는 강원도에서 ... ...
바다가 화석이 되었나 안데스의 소금대평원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깊이의 물이 고여 있었다. 자동차를 물쪽으로 몰았더니 차창에 호수물이 흠뻑 젖었다.
유리
에는 순간적으로 결정상의 소금이 엉겨 투명하던 시계를 막았다.30km정도 더 나가니 호수는 더 얕아지고 드디어 완전히 말라붙은 대평원으로 모습이 바뀌었다. 4천m 가까운 고도에 펼쳐진 위우니 염호는 ... ...
두뇌산업에 가해지는 과학의 메스「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이 단계 또한 건축과는 차이를 두고 있는 면으로서, 살다보니 손잡이가 망가지고 방
유리
가 깨지고 벽에 금이 가는 건물과는 달리 소프트웨어란 아무리 오래 사용해도 파손되지 않는 까닭이다.따라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란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발견된 원래의 하자를 수정하고, 기능을 추가시켜 ... ...
소프트웨어의 젊은 황제 윌리엄 게이츠 3세 William H.Gates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더 중요한 것을 배웠다.예컨대 대기업은 개발 프로젝트를 계힉대로 추진하는데 매우
유리
하다는 점이었다. 이것은 신출나기 기업에게는 기대조차 할 수 없는 것이었다. IBM은 정규적으로 신제품 팀의 모임을 갖고 엄격한 마감기한을 설정하고 있었다. 게이츠도 마이크로소프트의 현행 개발공정을 " ... ...
PART Ⅲ 곰팡이·버섯류 유용물질 생산하는 자연계 청소부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현미경이 발달한 오늘날 우리는 곰팡이를 손쉽게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배양액을 넣은
유리
샤알레에 곰팡이를 접종시키고 1주일 정도 지나면 곰팡이가 얼룩덜룩한 잔디모양으로 대량 번식한 것을 볼 수 있다. 현미경으로 본 곰팡이의 모습은 균사에서 줄기처럼 포자자루가 뻗어 있고 그 끝에 ... ...
PART Ⅰ 마이크로 코스모스 사진으로 본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우주세계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처음 고안된 현미경은 렌즈 설계이론과 광학
유리
가 발달하지 않아 유치한 단계에 머물렀다. 그러나 뉴턴 오일러 등 탁월한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현미경은 차츰 완성된 형태를 갖추어 17세기 생물학을 획기적으로 진보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당시 공포의 ... ...
PART 2 유럽에서 불어온 바람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전국에서 성과 성교육을 둘러싼 논쟁의 소용돌이가 일어나 재판결과는 여교사 편에
유리
하게 끝났다. 그러나 그 직후 여교사 앞으로 문교부에서 경고장이 날아와 문제의 뿌리깊음과 복잡함을 재인식케하였다.유럽에서 성적억압이 가장 강한 곳은 카톨릭 전통이 강한 아일랜드이다. 아일랜드에서는 ... ...
번개의 신화에서 전자공학 혁명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1733년 프랑스의 듀페이(1698~1739)였다. 그는
유리
막대를 견사로 문질러서 생기는 전기를
유리
전기, 호박이나 수지 그리고 유황 등을 모피에 문질러서 생기는 전기를 수전기(樹電氣)라 이름을 붙였다. 이것은 그후 1784년 프랭클린에 의해 앞의 것은 플러스전기, 뒤의 것은 마이너스 전기로 불리게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