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탐사 ➌ 삼엽충과 공룡은 서로를 알지 못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이 둘은 같은 건가요?이도영 (qorhvk1996)A 이암과 셰일은 모두 진흙처럼 알갱이가 아주
작은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이에요. 이 가운데 특히 입자가 곱고 여러 개의 판으로 얇게 갈라지는 암석을 셰일이라고 불러요. 이암은 셰일과 달리 덩어리진 경우가 많답니다 ... ...
새들은 왜 일부일처제를 지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노력으로 일부일처제가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그 주인공은 새와 쥐처럼
작은
척추동물의 사체를 땅에 묻어 유충의 먹이로 삼는 송장벌레예요.미국송장벌레는 더듬이가 잘 발달돼 있어서 죽은 동물의 냄새를 멀리서도 맡고 찾아가요. 사체에 도달했을 때, 다른 경쟁자가 있으면 암컷은 ... ...
카멜레온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바위 밑에서도 산답니다. 도마뱀도 카멜레온처럼 육식성 동물로 곤충이나 지렁이,
작은
설치류까지도 잡아먹어요. 도마뱀의 가장 큰 특징은 천적을 만나면 꼬리를 잘라 주의를 분산시키고 도망친다는 점이에요. 이때 꼬리는 바로 재생되지만, 뼈는 다시 생기지 않는답니다 ... ...
스테고사우루스는 무서운 파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그랜마! 나는 원래 정말 착한 공룡이란 말이에요. 그리고 나는 공룡 중에서 뇌가 가장
작은
편에 속해요. 풀을 뜯고 어슬렁거리며 돌아다니는 데만 머리를 쓰면 되거든요. 지구 정복처럼 복잡한 일은 나한테 시켜도 별로 소용이 없을 걸요? [과학동아몰 추천상품 ▶ 공룡을 좋아하는 우리 아이와 ... ...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눈에 쉽게 띄면 약충은 곧 물고기의 밥이 되기도 하고요. 또 잠자리 약충이 좋아하는
작은
물고기나 올챙이, 수서곤충 등이 없으면 굶어 죽을 수도 있어요. 그래서 암컷은 산란장소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해요.수초가 있는 습지는 잠자리 알과 약충이 자랄 수 있는 이상적인 장소예요. 수초가 있는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거대 초식공룡은 육식공룡이 진화한 모습초기에 나타났던 공룡은 자신보다 크기가
작은
동물을 잡아 먹는 육식공룡이었어요.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몸집을 키웠지요. 하지만 덩치를 유지하려면 많이 먹어야 했어요. 육식에는 한계가 있었으므로, 공룡들은 풀을 먹기 시작했어요. 하루에 ... ...
배달하고 사진 찍고, 지금은 드론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수 있는 비결은 바로 로봇 조종사가 있기 때문이랍니다. 연구실에는 키 40cm 정도의
작은
로봇이 컴퓨터 화면 앞에 서 실제 조종사 훈련용으로 쓰는 비행 시뮬레이터를 조종하고 있었어요.로봇은 주먹 쥔 손가락의 검지를 펼쳐 10개가 넘는 조종석 스위치를 하나씩 모두켜고, 엔진을 작동시킨 뒤 ... ...
2014 노벨 과학상 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공로를 인정받았지요. 고해상도 형광 현미경은 관측하려는 물체에 형광 빛을 내는
작은
점을 찍어 줘요. 점은 사진을 찍을 때마다 물체 안에서 위치가 바뀐답니다. 그래서 수많은 사진을 찍어 다 합치면 물체의 모양이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나타나지요(사진). 과학자들은 이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 ...
탐사 ➊ 타르보사우루스의 기적 같은 과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어느 날, 야트막한 산 속
작은
절벽에 석이와 아빠가 왔어요. 바위를 깎아내던 아빠는
작은
뼈를 발견하지요. 호숫가에서 쓸쓸하게 쓰러졌던 타르보사우루스가 7000만 년의 시간을 넘어 기적처럼 우리 앞에 나타난 순간이에요.이 이야기는 타르보사우루스가 화석이 되어 만화 속에 등장할 때까지의 ... ...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만큼 예민해요.알이 수컷의 등에 있으면 이런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어요. 수컷은
작은
개구리나 물고기를 잡아먹을 정도로 몸집이 커서 천적으로부터 알을 보호할 수 있어요. 또한 알이 잘 부화할 수 있도록 알맞은 온도와 습도가 있는 장소로 옮겨다니지요. 그래서 알이 무사히 부화할 확률이 ... ...
이전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다음
공지사항